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39 추천 수 0
◎ 製艾法 ○ 艾葉主灸百病三月三日五月五日採葉暴乾以覆道者爲佳經陳久方可用[入門] ○ 端午日日未出時於艾中以意求其似人者輒採之以灸殊有效又云三月三日艾用灸極妙[類聚] ○ 取陳久黃艾葉不以多少入臼內用木杵輕搗令熟以細篩隔去靑滓再搗再篩直至柔細黃熟爲度用之[局方] ○ 艾熟搗去靑取白入硫黃?之用尤妙[入門]

☞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 약쑥잎은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뜸뜨는 데 쓴다. 음력 3월 3일이나 5월 5일에 잎을 뜯어서 햇볕에 말리어 쓴다. 길섶에서 무성하게 자란 것과 여러 해 묵은 것이 좋다[입문]. ○ 단오날 해가 뜨기 전에 쑥 가운데서 좋은 것을 골라 뜯은 것으로 뜸을 뜨면 효과가 많다. 또한 음력 3월 3일에 뜯은 약쑥을 쓰면 더 좋다[유취]. ○ 오래 두어서 누렇게 된 약쑥잎 적당한 양을 절구에 넣고 나무공이로 약간씩 잘 찧어 가는 채로 쳐서 푸른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찧고 또 쳐서 보드라우면서도 누렇게 될 때까지 찧어 쓴다[국방]. ○ 또한 약쑥잎을 잘 찧어 푸른 찌꺼기를 버리고 흰 것만 모아 유황을 넣고 비벼 쓰면 더욱 좋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혈한(血汗)/진액 746
[진액(津液)] 황한(黃汗)/진액 690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진액(津液)] 땀을 멈추는 방법[止汗法] 1044
[진액(津液)] 땀이 나지 않는 것[無汗] 664
[진액(津液)] 절한(絶汗) 756
[진액(津液)] 유한(柔汗) 699
[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724
[진액(津液)] 꺼릴 것[禁忌]/진액 703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4
[진액(津液)] 눈물[泣] 722
[진액(津液)] 콧물[涕] 997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6
[진액(津液)] 느침[唾] 767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6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담음(痰飮)] 벽음(癖飮) 961
[담음(痰飮)] 담음(痰飮) 1211
[담음(痰飮)] 일음(溢飮) 986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4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