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63 추천 수 0
◎ 壯數多少法 ○ 着艾一炷如人丁壯之力故謂之壯 ○ 凡頭頂止於七壯至七七壯而止 ○ 鳩尾巨闕雖是胸腹穴灸不過四七壯若灸多令人永無心力如頭上穴若灸多令人失精神臂脚穴若灸多令人血脈枯渴四肢細而無力旣失精神又加細瘦卽令人短壽[資生] ○ 四肢但去風邪不宜多灸七壯至七七壯止不得過隨年數[資生] ○ 凡小兒七日以上周年以下不過七壯炷如雀屎[資生]

☞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 뜸봉 한 개의 힘이 어른 한 사람의 힘과 같다고 하여 장(壯)이라고 하였다. ○ 대체로 머리에는 7장에서 49장까지 뜬다. ○ 구미혈(鳩尾穴)과 거궐혈(巨闕穴)은 가슴과 배에 있는 침혈이기는 하나 뜸은 28장을 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많이 뜨면 심력(心力)이 약해지게 된다. 만일 머리의 침혈에 많이 뜨면 정신을 잃고 팔다리의 침혈에 많이 뜨면 혈맥이 마르고 팔다리가 가늘어지며 힘이 없어진다. 정신을 잃었던 데다가 몸까지 여위면 오래 살지 못한다[자생]. ○ 팔다리의 침혈에 뜸을 뜨면 다만 풍사(風邪)를 없앨 뿐이므로 많이 뜨는 것은 좋지 못하다. 7장에서 49장까지 뜨는데 자기 나이수보다 장수(壯數)가 넘지으면 안된다[자생]. ○ 어린이가 난 지 7일로부터 돌까지는 7장 이상 뜨지 말며 뜸봉의 크기는 참새똥만하게 해야 한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뜸의 보사법[灸補瀉法] 596
[침구(針灸)] 침뜸의 꺼려야 할 것[鍼灸禁忌] 381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561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유능한 의사와 서투른 의사가 있다는 데 대하여[鍼有上工中工] 438
[침구(針灸)] 침이 들어가 살에 붙는 것[鍼入着肉] 393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수혈[十二經脈流注?穴] 835
[침구(針灸)] 수태음폐경의 순행[手太陰肺經流注] 712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침구(針灸)] 족양명위경의 순행[足陽明胃經流注] 511
[침구(針灸)]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406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침구(針灸)]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549
[침구(針灸)] 족태양방광경의 순행[足太陽膀胱經流注] 611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82
[신형(身形)]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055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30
[신형(身形)]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1390
[신형(身形)]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1613
[신형(身形)]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1475
[신형(身形)]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1649
[신형(身形)]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1379
[신형(身形)]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1434
[신형(身形)]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589
[신형(身形)]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265
[신형(身形)]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2165
[신형(身形)]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2095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4
[신형(身形)] 사철의 기후에 맞게 정신을 수양한다[四氣調神] 1315
[신형(身形)] 도[道]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1437
[신형(身形)] 마음에 잡념이 없어야 수양하는 이치에 맞는다[虛心合道] 1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