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398 추천 수 0
◎ 不耐鍼灸 ○ 帝問曰鍼石火?之痛何如少兪曰人之骨强筋弱肉緩皮膚厚者耐痛帝曰其耐火?者何以知之少兪曰加以黑色而美骨者耐火?帝曰其不耐鍼石之痛者何以知之少兪曰堅肉薄皮者不耐鍼石之痛也[靈樞]

☞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 황제가 "침을 놓거나 뜸을 뜰 때에 얼마나 아픈가"고 하니 소유(少兪)는 "뼈가 굳고 힘줄이 약하며 살이 부드럽고 피부가 두터운 사람은 아픈 것을 잘 견딘다"고 하였다. 황제는 "뜸뜰 때에 견디어 낼 수 있겠는가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고 하니 소유는 "살빛이 검고 뼈가 단단하면 뜸을 뜨는데 잘 견딘다"고 하였다. 황제가 "침놓을 때에 아파서 견디지 못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고 하니 소유는 "살이 굳고 피부가 얇으면 침놓을 때에 아픈 것을 견디지 못한다"고 하였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물(水部)] 증기수(甑氣水) 392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392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침이 들어가 살에 붙는 것[鍼入着肉] 393
[풍(風)] 치와 경을 일반적으로 파상풍이라고 한다[ 與痙通稱破傷風] 393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새(禽部)] 포곡(布穀, 뻐꾹새) 393
[잡방(雜方)] 백룡고(白龍膏) 394
[소아(小兒)]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394
[천지운기(天地運氣)] 자오년[子午之歲] 395
[제상(諸傷)] 지렁이한테 상한 것[?蚓傷] 395
[소아(小兒)] 감사(疳瀉) 395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근(筋)] 수심주(手心主)의 경근[手心主之筋] 396
[천지운기(天地運氣)] 운기(運氣)의 변화에 따라 돌림병이 생긴다[運氣之變成疫] 396
[풍(風)] 파상풍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상[破傷風凶證] 396
[눈(眼)] 횡개예(橫開翳) 397
[눈(眼)] 눈병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치료하기 어려운 것을 갈라본 것[眼病易治難治辨] 397
[용약(用藥)]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397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7
[옹저(癰疽)]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397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눈(眼)] 침예(沈瞖) 398
[이빨(牙齒)] 이빨병 때 꺼릴 것[齒病禁忌] 398
[잡방(雜方)] 젖을 햇볕에 말리는 방법[?乾人乳法] 398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내상(內傷)] 도인법(導引法) 399
[해독(解毒)] 채소중독[菜蔬毒]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