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71 추천 수 0
◎ 鍼法有瀉無補 ○ 鍼刺雖有補瀉之法予恐但有瀉而無補焉經謂瀉者迎而奪之以鍼迎其經脈之來氣而出之固可以瀉實也謂補者隨而濟之以鍼隨其經脈之去氣而留之未必能補虛也不然內經何以曰無刺??之熱無刺渾渾之脈無刺??之汗無刺大勞人無刺大飢人無刺大渴人無刺新飽人無刺大驚人又曰形氣不足病氣不足此陰陽皆不足不可刺刺之則重竭其氣老者絶滅壯者不復矣若此等語皆有瀉無補之謂也凡虛損危病久病俱不宜用鍼[入門]

☞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 침놓는 데는 비록 보하고 사하는 법이 있다고 하나 나는 다만 사하는 것만 있고 보하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내경』에 사한다는 것을 맞받아가서 빼앗는 것이라고 한 것은 침으로 그 경맥에 오는 기를 맞받아가서 빼는 것이므로 실한 것을 사한다고 한 것이고 보한다는 것을 따라 가면서 도와주는 것이라고 한 것은 그 경맥의 가는 기를 따라 가면서 침을 놓아 머무르게 한다는 것이므로 반드시 허한 것을 보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렇지 않으면 무엇 때문에 『내경』에서 화끈화끈하게 열이 날 때 침을 놓지 말고 똑똑하지 못한 맥이 나올 때 침을 놓지 말며 땀이 뚝뚝 떨어질 때에 침을 놓지 말고 몹시 피로한 사람, 몹시 배가 고픈 사람, 몹시 갈증이 나는 사람, 음식을 금방 먹어 배가 부른 사람, 몹시 놀란 사람에게는 다 침을 놓지 말라고 하였겠는가. ○ 『내경』에 또 형과 기가 부족하고 병사도 부족한 것은 음양이 다 부족한 것이므로 침을 놓을 수 없으며 침을 놓으면 그 기가 더욱 부족해져 늙은 사람은 아주 죽고 젊은 사람은 회복되지 않는다고 하였겠는가. 이런 말들은 다 침치료법에는 사법만 있고 보법은 없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모든 허손(虛損)으로 위험한 병과 오래된 병은 다 침을 놓는 것이 좋지 않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입과 혀(口舌)]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口臭] 1489
[혈(血)] 피오줌[尿血] 1487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83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2
[신형(身形)] 양성금기[養性禁忌] 1480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위치[膀胱部位] 1480
[허리(腰)] 어혈로 허리가 아픈 것[瘀血腰痛] 1479
[신형(身形)]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1475
[화(火)] 골증열(骨蒸熱) 1471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포(胞)]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1468
[내상(內傷)]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1464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60
[물고기(魚部)]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460
[신(神)] 탈영증과 실정증[脫營失精證] 1458
[제창(諸瘡)] 음식창(陰蝕瘡) 1457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6
[담음(痰飮)] 울담(鬱痰) 1454
[적취(積聚)] 식울(食鬱) 1452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50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50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9
[오줌(小便)] 노림(勞淋) 1448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8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8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머리(頭)] 풍한두통(風寒頭痛) 1447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1445
[부인(婦人)] 유산[半産]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