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71 추천 수 0
◎ 鍼法有瀉無補 ○ 鍼刺雖有補瀉之法予恐但有瀉而無補焉經謂瀉者迎而奪之以鍼迎其經脈之來氣而出之固可以瀉實也謂補者隨而濟之以鍼隨其經脈之去氣而留之未必能補虛也不然內經何以曰無刺??之熱無刺渾渾之脈無刺??之汗無刺大勞人無刺大飢人無刺大渴人無刺新飽人無刺大驚人又曰形氣不足病氣不足此陰陽皆不足不可刺刺之則重竭其氣老者絶滅壯者不復矣若此等語皆有瀉無補之謂也凡虛損危病久病俱不宜用鍼[入門]

☞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 침놓는 데는 비록 보하고 사하는 법이 있다고 하나 나는 다만 사하는 것만 있고 보하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내경』에 사한다는 것을 맞받아가서 빼앗는 것이라고 한 것은 침으로 그 경맥에 오는 기를 맞받아가서 빼는 것이므로 실한 것을 사한다고 한 것이고 보한다는 것을 따라 가면서 도와주는 것이라고 한 것은 그 경맥의 가는 기를 따라 가면서 침을 놓아 머무르게 한다는 것이므로 반드시 허한 것을 보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렇지 않으면 무엇 때문에 『내경』에서 화끈화끈하게 열이 날 때 침을 놓지 말고 똑똑하지 못한 맥이 나올 때 침을 놓지 말며 땀이 뚝뚝 떨어질 때에 침을 놓지 말고 몹시 피로한 사람, 몹시 배가 고픈 사람, 몹시 갈증이 나는 사람, 음식을 금방 먹어 배가 부른 사람, 몹시 놀란 사람에게는 다 침을 놓지 말라고 하였겠는가. ○ 『내경』에 또 형과 기가 부족하고 병사도 부족한 것은 음양이 다 부족한 것이므로 침을 놓을 수 없으며 침을 놓으면 그 기가 더욱 부족해져 늙은 사람은 아주 죽고 젊은 사람은 회복되지 않는다고 하였겠는가. 이런 말들은 다 침치료법에는 사법만 있고 보법은 없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모든 허손(虛損)으로 위험한 병과 오래된 병은 다 침을 놓는 것이 좋지 않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112
[나무[木部]] 유피(楡皮, 느릅나무껍질) 158
[나무[木部]] 호박(琥珀) 154
[나무[木部]] 복령(茯苓, 솔풍령) 복신(茯神) 195
[나무[木部]] 백실(栢實, 측백씨) 백엽(栢葉, 측백잎) 백백피(栢白皮, 측백나무속껍질) 193
[나무[木部]]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373
[나무[木部]]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괴지(槐枝, 홰나무가지) 괴백피(槐白皮, 홰나무속껍질) 괴화(槐花, 홰나무꽃) 236
[나무[木部]] 송지(松脂, 송진) 송실(松實, 솔방울) 송엽(松葉, 솔잎)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송화(松花, 솔꽃) 송근백피(松根白皮, 소나무뿌리속껍질) 송제(松 , 솔기름) 548
[나무[木部]] 계피(桂皮) 계심(桂心) 육계(肉桂) 계지(桂枝) 유계(柳桂) 666
[풀(草部)] 해아다(孩兒茶) 140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경실(?實, 어저뀌씨) 68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풀(草部)] 초오(草烏, 바꽃) 125
[풀(草部)]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18
[풀(草部)] 초과(草果) 71
[풀(草部)] 초두구(草豆寇) 103
[풀(草部)] 패천공(敗天公) 76
[풀(草部)] 야자고(野茨菰) 77
[풀(草部)]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129
[풀(草部)] 수료(手蓼, 물여뀌) 수료자(水蓼子, 물여뀌씨) 106
[풀(草部)] 마발(馬勃, 말버섯) 173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산자고(山茨菰) 28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작엽하초(昨葉荷草) 32
[풀(草部)] 초장초(酢漿草, 괴싱아) 84
[풀(草部)] 곡정초(穀精草) 30
[풀(草部)] 포공초(蒲公草, 민들레) 64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