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61 추천 수 0
◎ 鍼要得術 ○ 五臟之有疾也譬猶刺也猶汚也猶結也猶閉也善用鍼者取其疾也猶拔刺也猶雪汚也猶解結也猶決閉也疾雖久猶可畢也言不可治者未得其術也[靈樞] ○ 寒與熱爭能合而調之虛與實隣知決而通之左右不調犯而行之上氣不足推而揚之下氣不足積而從之陰陽皆虛火自當之[靈樞]

☞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 5장에 병이 생긴 것은 마치 가시가 든 것 같고 때가 묻어 더러워진 것과 같으며 맺힌 것 같고 막힌 것 같으므로 침을 잘 놓을 줄 아는 사람은 그 병을 치료하는 것이 마치 가시를 빼내는 것 같고 때를 씻어버리는 것 같으며 맺힌 것을 푸는 것과 같고 막힌 것을 터뜨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병이 비록 오래되었어도 치료할 수 있다. 그런데 치료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그 사람이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영추]. ○ 한과 열이 서로 부딪치는 데는 잘 조절하여 고르게 하고 허하고 실한 것이 어울렸을 때에는 터뜨려서 통하게 할 줄 알아야 하며 좌우가 고르지 못할 때에는 돌아가게 하고 위의 기가 부족할 때에는 밀어서 올리고 아래의 기가 부족할 때에는 쌓아서 따르게 하며 음양이 다 허하면 뜸을 떠야 한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종(浮腫)] 결양증(結陽證) 783
[부종(浮腫)] 기분증과 혈분증[氣分證血分證] 1327
[부종(浮腫)] 산전산후에 생기는 부종[婦人産前後浮腫] 667
[부종(浮腫)] 약을 먹지 않고도 저절로 물이 빠지게 하는 방법[不服藥自去水方] 688
[부종(浮腫)] 부종치료에 두루 쓰는 약[浮腫通治藥] 1199
[부종(浮腫)]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治證] 684
[부종(浮腫)] 꺼릴 것[禁忌法] 542
[부종(浮腫)] 단방(單方) 687
[부종(浮腫)] 침뜸치료[鍼灸法] 611
[창만(脹滿)] 창만의 형태와 증상[脹滿形證] 840
[창만(脹滿)] 맥 보는 법[脈法] 549
[창만(脹滿)] 창병에는 7가지가 있다[脹病有七] 785
[창만(脹滿)] 창만을 치료하는 방법[脹滿治法] 673
[창만(脹滿)] 곡창(穀脹) 치료법 712
[창만(脹滿)] 수창(水脹) 치료법 796
[창만(脹滿)] 기창(氣脹) 치료법 924
[창만(脹滿)] 혈창(血脹) 치료법 906
[창만(脹滿)] 열창(熱脹) 치료법 699
[창만(脹滿)] 고창(蠱脹) 치료법 787
[창만(脹滿)] 창만을 두루 치료하는 약[脹滿通治藥] 1144
[창만(脹滿)] 탁기가 상초에 있으면 진창이 생긴다[濁氣在上則生?脹] 750
[창만(脹滿)] 상한이나 열병 때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傷寒熱病腹脹滿] 544
[창만(脹滿)] 창만은 진장병이다[脹滿乃眞臟病也] 570
[창만(脹滿)] 창만 때 설사가 나는 것[脹滿泄瀉] 584
[창만(脹滿)] 겉에 붙이는 치료법[外敷法] 652
[창만(脹滿)]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可治證] 508
[창만(脹滿)] 단방(單方) 561
[창만(脹滿)] 침뜸치료[鍼灸法] 517
[소갈(消渴)] 소갈의 원인[消渴之源] 775
[소갈(消渴)] 소갈의 형태와 증상[消渴形證] 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