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61 추천 수 0
◎ 鍼要得術 ○ 五臟之有疾也譬猶刺也猶汚也猶結也猶閉也善用鍼者取其疾也猶拔刺也猶雪汚也猶解結也猶決閉也疾雖久猶可畢也言不可治者未得其術也[靈樞] ○ 寒與熱爭能合而調之虛與實隣知決而通之左右不調犯而行之上氣不足推而揚之下氣不足積而從之陰陽皆虛火自當之[靈樞]

☞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 5장에 병이 생긴 것은 마치 가시가 든 것 같고 때가 묻어 더러워진 것과 같으며 맺힌 것 같고 막힌 것 같으므로 침을 잘 놓을 줄 아는 사람은 그 병을 치료하는 것이 마치 가시를 빼내는 것 같고 때를 씻어버리는 것 같으며 맺힌 것을 푸는 것과 같고 막힌 것을 터뜨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병이 비록 오래되었어도 치료할 수 있다. 그런데 치료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그 사람이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영추]. ○ 한과 열이 서로 부딪치는 데는 잘 조절하여 고르게 하고 허하고 실한 것이 어울렸을 때에는 터뜨려서 통하게 할 줄 알아야 하며 좌우가 고르지 못할 때에는 돌아가게 하고 위의 기가 부족할 때에는 밀어서 올리고 아래의 기가 부족할 때에는 쌓아서 따르게 하며 음양이 다 허하면 뜸을 떠야 한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살(肉)] 살로써 살찌고 여윈 것을 표준한다[肉主肥瘦] 687
[내상(內傷)] 식궐(食厥) 687
[기침(咳嗽)] 돌림기침[天行嗽] 687
[부종(浮腫)] 단방(單方) 687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머리(頭)]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688
[변증(辨證)] 용감한 사람과 비겁한 사람은 형체가 다르다[勇怯異形] 688
[허로(虛勞)] 6극증(六極證) 688
[부종(浮腫)] 약을 먹지 않고도 저절로 물이 빠지게 하는 방법[不服藥自去水方] 688
[오줌(小便)] 배꼽을 싸매는 법[掩臍法] 689
[전음(前陰)] 혈산에 쓰는 약[血疝藥] 689
[학질(?疾)] 학질의 형태와 증상[?疾形證] 689
[학질(?疾)] 귀학(鬼?) 689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제창(諸瘡)] 동상[凍瘡] 689
[물고기(魚部)] 추어(鰍魚, 미꾸라지) 689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백지(白芷, 구릿대) 백지엽(白芷葉, 구릿대잎) 690
[풀(草部)] 대계(大?, 엉겅퀴) 소계(小?, 조뱅이) 690
[진액(津液)] 황한(黃汗)/진액 69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690
[폐장(肺臟)]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690
[구급(救急)] 자기손으로 목을 매어 죽은 것을 살리는 방법[救自縊死] 690
[물고기(魚部)] 점어(鮎魚, 메기) 690
[언어(言語)] 신음소리[呻] 69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의 기운이 끊어진 증후[臟腑氣絶候] 691
[풍(風)] 살찐 사람은 흔히 중풍에 걸린다[肥人多中風] 691
[풍(風)] 이를 악문 것을 열리게 하는 방법[開?法]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