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49 추천 수 0
◎ 手太陽小腸經流注 ○ 手太陽之脈起於小指之端(少澤穴)循手外側(本節前前谷穴本節後後谿穴)上腕(腕前腕骨穴腕中陽谷穴)出?中直上循臂骨下廉出?內側兩骨之間(小海穴)上循?外後廉出肩解繞肩胛交肩上入缺盆向腋絡心循咽下膈抵胃屬小腸其支者從缺盆貫頸上頰至目銳?却入耳中其支者別頰上?抵鼻至目內?斜絡於觀(觀頰骨也自此交入足太陽)是動則病?痛?腫不可回顧肩似拔?似所是主液所生病者耳聾目黃頰?腫頸肩??臂外後廉痛盛者人迎再倍於寸口虛者人迎反小於寸口也[靈樞] ○ 未時自少衝交與少澤循?上行至聽宮穴止[入門]

☞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 수태양경맥은 새끼손가락 끝(소택혈)에서 시작하여 손잔등 바깥쪽(밑마디 앞은 전곡혈이고 밑마디 뒤는 후계혈이다)을 따라 손목(손목 앞은 완골혈이고 손목 가운데는 양곡혈이다)으로 올라가 복사뼈로 나온다. 다음에 노뼈외측을 따라 팔굽 안쪽의 두 뼈 사이(소해혈)로 나와 팔죽지 바깥쪽 뒤 변두리를 따라 올라가 어깨짬으로 나온 다음 어깨뼈를 돌아서 올라가 결분으로 들어가 겨드랑이쪽으로 갔다가 심을 얽고 식도를 따라 횡격막을 뚫고 내려가 위를 거쳐 소장에 가서 끝났다. 그 한 가지는 결분에서 목을 지나 뺨으로 올라가 눈에 갔다가 다시 귀로 들어갔다. 다른 한 가지는 뺨에서 갈라져 광대뼈로 올라가 코를 거쳐 눈구석으로 나와 비스듬히 광대뼈(광대뼈라는 것은 뺨의 뼈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족태양방광경에 연락된다)에서 끝났다. ○ 시동병(是動病)은 목이 아프고 턱이 부어 목을 돌릴 수 없고 어깨가 빠지는 것 같으며 팔죽지가 꺾어지는 것 같다. 이것은 주로 진액과 관련된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귀가 먹고 눈이 누러며 뺨과 턱이 붓고 목과 어깨, 팔죽지, 팔굽, 팔뚝의 바깥쪽 뒤 변두리가 아프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2배나 크고 허할 때에는 인영맥이 도리어 촌구맥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미시(13-15시)에 소충혈에서 시작하여 소택혈에서 교차되며 팔굽을 따라 위로 올라가 청궁혈에 가서 끝났다[입문]. 

◎ 手太陽小腸經左右凡三十八穴 

☞ 수태양소장경(좌우 모두 38개 혈) 

? 少澤二穴 ○ 一名少吉在手小指之端外側去爪甲角下如?葉手太陽脈之所出爲井鍼入一分留二呼可灸一壯[銅人]

☞ 소택(小澤, 2개 혈) ○ 일명 소길(少吉)이라고도 하는데 새끼손가락 손톱눈 바깥 모서리에서 부추잎만큼 떨어져 있다. 수태양경의 정혈이다. 침은 1푼을 놓으며 2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1장을 뜬다[동인]. 

? 前谷二穴 ○ 在手小指外側本節前陷中手太陽脈之所流爲滎鍼入一分留三呼可灸三壯[銅人]

☞ 전곡(前谷, 2개 혈) ○ 새끼손가락 바깥쪽 밑마디 앞 우묵한 곳에 있다. 수태양경의 형혈이다. 침은 1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後谿二穴 ○ 在手小指外側本節後陷中[銅人] ○ 本節後橫文尖盡處握掌取之[入門] ○ 手太陽脈之所注爲?鍼入二分留三呼可灸三壯[銅人]

☞ 후계(後谿, 2개 혈) ○ 새끼손가락 밑마디 뒤 바깥쪽 우묵한 가운데 있다[동인]. ○ 밑마디 뒤 가로간 금의 끝에 있다. 주먹을 쥐고 침혈을 잡는다[입문]. ○ 수태양경의 수혈이다. 침은 2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腕骨二穴 ○ 在手外側腕前(臂下掌上節處曰腕)起骨下陷中[銅人] ○ 在掌後外側高骨下陷中握掌向內取之[入門] ○ 在手外側腕骨之前[靈樞] ○ 手太陽脈之所過爲原針入二分留三呼可灸三壯[銅人]

☞ 완골(腕骨, 2개 혈) ○ 손잔등쪽 손목(팔 아래와 손바닥 위의 관절을 손목이라고 한다) 앞의 두드러진 뼈 아래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손바닥 뒤 바깥쪽 두드러진 뼈 아래 우묵한 곳에 있는데 주먹을 쥐고 침혈을 잡는다[입문]. ○ 손잔등쪽 손목뼈 앞에 있다[영추]. ○ 수태양경의 원혈이다. 침은 2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陽谷二穴 ○ 在手外側腕中銳骨下陷中手太陽脈之所行爲經鍼入二分留三呼可灸三壯[銅人]

☞ 양곡(陽谷, 2개 혈) ○ 손잔등쪽 예골의 아래 우묵한 곳이 있다. 수태양경의 경혈이다. 침은 2푼을 놓는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養老二穴 ○ 在手?骨上一空在腕後一寸陷中針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양로(養老, 2개 혈) ○ 손잔등쪽 복사뼈 위의 뼈짬에 있으며 손목에서 뒤로 1치 나가 우묵한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支正二穴 ○ 在腕骨後五寸[銅人] ○ 在腕後五寸去養老四寸陷中[資生] ○ 手太陽絡別走少陰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지정(支正, 2개 혈) ○ 완골혈에서 5치 뒤에 있다[동인]. ○ 손목에서 5치 뒤, 양로혈에서 4치 올라가 우묵한 곳에 있다[자생]. ○ 수태양경의 낙혈이며 수소음경맥으로 갈라져 간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小海二穴 ○ 在?內大骨外去?端五分陷中[銅人] ○ 屈手向頭取之又云屈?得之[入門] ○ 手太陽脈之所入爲合針入二分可灸三壯[銅人]

☞ 소해(小海, 2개 혈) ○ 팔굽 안쪽 대골 밖에 팔꿈치 끝에서 5푼 떨어진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팔을 구부리고 손을 머리로 가게 한 다음 침혈을 잡는다. 또는 팔굽을 구부리고 잡기도 한다[입문]. ○ 수태양경의 합혈이다. 침은 2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肩貞二穴 ○ 在肩曲胛上兩骨解間肩?後陷中[銅人] ○ 在肩?後兩骨?間[入門] ○ 鍼入八分禁不可灸[入門]

☞ 견정(肩貞, 2개 혈) ○ 어깨뼈 아래 두 뼈의 관절 사이에 있고 견우혈 뒤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견우혈 뒤 두 뼈 사이에 있다[입문]. ○ 침은 8푼을 놓으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입문]. 

? ??二穴 ○ 在肩?後大骨下胛上廉陷中擧臂取之鍼入八分可灸三壯[銅人]

☞ 노수(??, 2개 혈) ○ 견료혈(肩?穴) 뒤 대골 아래 어깨뼈 위의 우묵한 가운데 있는데 팔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8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天宗二穴 ○ 在秉風後大骨下陷中鍼入五分留六呼可灸三壯[銅人]

☞ 천종(天宗, 2개 혈) ○ 병풍혈 뒤 대골 아래 우묵한 가운데 있다. 침은 5푼을 놓으며 6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秉風二穴 ○ 在天?外肩上小?骨後擧臂有空[銅人] ○ 在天宗前小?後[入門] ○ 鍼入五分可灸五壯[銅人]

☞ 병풍(秉風, 2개 혈) ○ 천료혈 바깥쪽 어깨 위 작은 우골 뒤에 있다. 팔을 들면 우묵하게 들어가 데 있다[동인]. ○ 천종혈 앞 작은 우골 뒤에 있다[입문]. ○ 침은 5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曲垣二穴 ○ 在肩中央曲胛陷中按之應手痛鍼入五分可灸十壯[銅人]

☞ 곡원(曲垣, 2개 혈) ○ 어깨뼈 가운데의 우묵한 곳에 있다. 손으로 누르면 아픈 것이 알리는 곳이다. 침은 5푼을 놓으며 뜸은 10장을 뜬다[동인]. 

? 肩外?二穴 ○ 在肩胛上廉去脊三寸陷中[銅人] ○ 去大?傍三寸[入門] ○ 鍼入六分可灸三壯[銅人]

☞ 견외수(肩外?, 2개 혈) ○ 어깨뼈 위의 등뼈대에서 3치 떨어진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대저혈에서 옆으로 3치 나가 있다[입문]. ○ 침은 6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肩中?二穴 ○ 在肩胛內廉去脊二寸陷中[銅人] ○ 去大?傍二村[入門] ○ 鍼入三分留七呼可灸十壯[銅人] ○ 肩後廉十二穴??肩貞極外天宗曲垣次之外?中?極?[綱目]

☞ 견중수(肩中?, 2개 혈) ○ 어깨뼈 안쪽 등뼈대에서 2치 나가서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대저혈에서 옆으로 2치 나가 있다[입문]. ○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10장을 뜬다[동인]. ○ 어깨 뒤의 12혈 가운데서 노수혈과 견정혈이 제일 바깥쪽에 있고 천종혈과 곡원혈이 그 다음이며 견외수혈과 견중수혈이 제일 안쪽에 있다[강목]. 

? 天容二穴 ○ 在耳下曲頰後[銅人] ○ 在頰車後陷中[入門] ○ 針入一寸可灸三壯[銅人]

☞ 천용(天容, 2개 혈) ○ 귀 아래의 턱자개미 뒤에 있다[동인]. ○ 협거혈 뒤의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침은 1치를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天窓二穴 ○ 一名窓籠在頸大筋前曲頰下挾扶突後動脈應手陷中[銅人] ○ 在完骨下髮際上頸上大筋處動脈陷中[入門] ○ 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천창(天窓, 2개 혈) ○ 일명 창롱(窓籠)이라고도 하는데 목의 큰 힘줄 앞, 턱자개미 아래의 부돌혈 뒤에 손을 대면 맥이 뛰는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완골혈 아래 큰힘줄과 혈맥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二穴 ○ 在面?骨下廉銳骨端陷中[銅人] ○ 在面頰銳骨端下廉陷中[入門] ○ 鍼入三分禁不可灸[銅人]

☞ 관료(??, 2개 혈) ○ 광대뼈 아래 예골 끝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뺨의 예골 아래쪽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 聽宮二穴 ○ 在耳中珠子大如赤小豆[銅人] ○ 在耳前珠子傍[入門] ○ 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청궁(聽宮, 2개 혈) ○ 귓구멍 앞의 붉은 팥알만큼 도드라져 나온 것(이주)의 앞에 있다[동인]. ○ 귀 앞 도드라져 나온 곳의 옆에 있다[입문]. ○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786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2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피부(皮)] 마목(麻木) 5603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9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5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80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5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58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29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31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3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41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5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9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9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