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59 추천 수 0
◎ 手少陽三焦經流注 ○ 手少陽之脈起於小指次指之端外側(關衝穴)上出兩指之間(本節前液門穴本節後中渚穴)循手表腕(陽池穴)出臂外兩骨之間(支溝穴)上貫?(天井穴)循?外上項挾耳後直上出耳上角以屈下頰至?(?頰骨也)其支者從耳後入耳中出走耳前過客主人前(穴名)交頰至目銳?(自此交足少陽)入是動則病耳聾渾渾焞焞?腫喉痺是主氣所生病者汗出目銳?痛頰痛耳後肩??臂外皆痛小指次指不用盛者人迎大一倍於寸口虛者人迎反小於寸口也[靈樞] ○ 亥時自中衝交與關衝循臂上行至耳門穴止[入門]

☞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 수소양경맥은 약손가락 바깥쪽 끝(관충혈)에서 시작하여 두 손가락 사이(밑마디의 앞은 액문혈, 밑마디의 뒤는 중저혈)로 나와서 손목 겉(양지혈)을 따라 팔뚝의 바깥쪽 두 뼈 사이(지구혈)로 올라간다. 계속 팔굽(천정혈)을 뚫고 위로 올라가 팔죽지의 바깥쪽을 따라 목으로 올라가서 귀 뒤를 돌아 올라가 귀 윗끝으로 나온 다음 구부러져 뺨으로 내려와 광대뼈(광대뼈는 즉 뺨의 뼈다)로 갔다. 그 한 가지는 귀 뒤에서 귀 속으로 들어갔다가 귀 앞으로 나와서 객주인혈(客主人穴)의 앞을 지나 뺨에서 교차되어 눈 귀에 닿았다(여기서 족소양담경과 연계되었다). ○ 시동병(是動病)은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며 목이 붓고 후비증이 생긴다. 이것은 주로 기와 관련되는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땀이 나고 눈귀가 아프며 뺨이 아프고 귀 뒤쪽과 어깨와 팔죽지, 팔굽, 팔뚝의 바깥쪽이 다 아프며 약손가락을 쓰지 못한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배나 크고 허할 때에는 인영맥이 도리어 촌구맥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해시(21-23시)에 중충혈(中衝穴)에서 시작하여 관충혈에 와서 교체되고 팔을 따라 위로 올라가 이문혈(耳門穴)에 가서 끝난다[입문]. 

◎ 手少陽三焦經左右凡四十六穴 

☞ 수소양삼초경(좌우 모두 46개 혈)  

? 關衝二穴 ○ 在手小指次指之端外側去爪甲角如?葉握卷取之手少陽脈之所出爲井鍼入一分留三呼可灸一壯[銅人]

☞ 관충(關衝, 2개 혈) ○ 약손가락 끝의 바깥쪽 손톱눈에서 부추잎만큼 떨어진 곳에 있다. 주먹을 쥐고 침혈을 잡는다. 수소양경의 정혈(井穴)이다. 침은 1푼을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1장을 뜬다[동인]. 

? 液門二穴 ○ 在手小指次指間本節前陷中手少陽脈之所流爲滎握卷取之鍼入二分留三呼可灸一壯[銅人]

☞ 액문(液門, 2개 혈) ○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사이 밑마디 앞 우묵한 곳에 있다. 수소양경의 형혈(滎穴)이다. 주먹을 쥐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2푼을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1장을 뜬다[동인]. 

? 中渚二穴 ○ 在手小指次指本節後間陷中液門下一寸握掌取之手少陽脈之所注爲?鍼入二分留三呼可灸三壯[銅人]

☞ 중저(中渚, 2개 혈) ○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사이 밑마디 뒤 우묵한 곳에 액문혈에서 1치 뒤에 있다. 주먹을 쥐고 침혈을 잡는다. 수소양경의 수혈(?穴)이다. 침은 2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陽池二穴 ○ 一名別陽在手表腕上陷中[銅人] ○ 在手掌背橫文陷中手少陽脈之所過爲原鍼入二分留三呼禁不可灸[銅人]

☞ 양지(陽池, 2개 혈) ○ 일명 별양(別陽)이라고도 하는데 손목 바깥쪽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손등의 가로간 금의 가운데 우묵한 곳에 있다. 수소양경의 원혈(原穴)이다. 침은 2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 外關二穴 ○ 在腕後二寸陷中在陽池後二寸手少陽絡別走心主鍼入三分留七呼可灸三壯[銅人]

☞ 외관(外關, 2개 혈) ○ 손목에서 뒤로 2치 올라가 우묵한 곳이다. 양지혈에서 2치 올라가 있다. 수소
양경의 낙혈(絡穴)이며 여기서 갈라져 수궐음심포락으로 간다. 침은 3푼을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支溝二穴 ○ 腕後三寸兩骨之間陷中陽池後三寸[銅人] ○ 在腕後臂外三寸[資生] ○ 手少陽脈之所行爲經鍼入三分留七呼可灸二七壯[銅人]

☞ 지구(支溝, 2개 혈) ○ 손목에서 위로 3치 올라가 두 뼈 사이 우묵한 곳이다. 양지혈에서 3치 올라가 있다[동인]. ○ 손목에서 팔뚝쪽으로 3치 나가 있다[자생]. ○ 수소양경의 경혈(經穴)이다. 침은 3푼을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14장을 뜬다[동인]. 

? 會宗二穴 ○ 在腕後三寸空中一寸[銅人] ○ 在支溝外傍一寸空中[入門] ○ 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회종(會宗, 2개 혈) ○ 손목에서 위로 3치 올라가 바깥쪽으로 1치 나가 있다[동인]. ○ 지구혈에서 옆으로 1치 나가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三陽絡二穴 ○ 在臂上大交脈支溝上一寸[銅人] ○ 在陽池後四寸[入門] ○ 在?前五寸外廉陷中[資生] ○ 可灸七壯禁不可鍼[銅人]

☞ 삼양락(三陽絡, 2개 혈) ○ 팔 윗쪽 큰 혈맥이 교차된 곳, 지구혈에서 1치 위에 있다[동인]. ○ 양지혈에서 4치 위에 있다[입문]. 팔굽에서 아래로 5치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자생]. ○ 뜸은 7장을 뜨고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 四瀆二穴 ○ 在?前六寸外廉陷中鍼入六分留七呼可灸三壯[銅人]

☞ 사독(四瀆, 2개 혈) ○ 팔굽에서 아래로 6치 내려가 우묵한 가운데 있다. 침은 6푼을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天井二穴 ○ 在?外大骨之後?上一寸陷中[銅人] ○ 在曲?後一寸叉手按膝頭取之兩筋骨?中又云?後兩筋間屈?乃得之[資生] ○ 手少陽脈之所入爲合[銅人] ○ 鍼入一寸留七呼可灸三壯[靈樞]

☞ 천정(天井, 2개 혈) ○ 팔굽의 바깥쪽으로 대골 뒤, 팔굽에서 위로 1치 올라가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팔굽에서 1치 뒤에 있으며 두 손을 끼고 무릎 위에 올려놓고 침혈을 잡는다. 두 힘줄과 뼈 사이에 있는데 팔굽을 구부리고 침혈을 잡는다고도 한다[자생]. ○ 수소양경의 합혈이다[동인]. ○ 침은 1치를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영추]. 

? 淸冷淵二穴 ○ 在?上二寸伸?擧臂取之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청랭연(淸冷淵, 2개 혈) ○ 팔굽에서 2치 위에 있는데 팔을 편 다음 들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消?二穴 ○ 在肩下臂外間腋斜?分下行鍼入六分可灸三壯[銅人]

☞ 소락(消?, 2개 혈) ○ 어깨 아래 팔죽지 바깥쪽 겨드랑이에서 팔굽으로 비스듬히 내려간 힘살에 있다. 침은 6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會二穴 ○ 一名??在肩前廉去肩頭三寸宛宛中鍼入七分留十呼可灸七壯[銅人]

☞ 노회(?會, 2개 혈) ○ 일명 노료(??)라고도 하는데 어깨의 앞쪽 끝에서 3치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침은 7푼을 놓으며 10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7장을 뜬다[동인]. 

? 肩?二穴 ○ 在肩端?上陷中擧臂取之[銅人] ○ 在肩端外陷?會上斜[入門] ○ 鍼入七分可灸三壯[銅人]

☞ 견료(肩?, 2개 혈) ○ 어깨 끝과 팔죽지 위 우묵한 곳에 있는데 팔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동인]. 어깨의 바깥쪽 끝 우묵한 곳, 노회혈에서 위로 비스듬히 올라가 있다[입문]. ○ 침은 7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天?二穴 ○ 在肩缺盆中上毖骨之際陷中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肩上廉十穴肩?極外巨骨次之肩井又次之秉風又次之天?極在裏[綱目]

☞ 천료(天?, 2개 혈) ○ 어깨의 결분 가운데 상비골(上毖骨)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침은 8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어깨 윗쪽의 10개 침혈 가운데서 견료혈이 제일 바깥쪽에 있고 거골혈(巨骨穴)이 다음이며 견정혈이 그 다음이고 병풍혈(秉風穴)은 또 그 다음이며 천료혈이 제일 안쪽에 있다[강목]. 

? 天?二穴 ○ 在頸大筋前缺盆上天容後天柱前完骨下髮際上一寸陷中[銅人] ○ 在耳下頸大筋外髮際上一寸[入門] ○ 鍼入一寸留七呼禁不宜灸若灸之面腫眼合先取??後鍼天?風池其病卽差[銅人]

☞ 천유(天?, 2개 혈) ○ 목에 있는 큰 힘줄 앞의 결분 위, 천용혈(天容穴)과 천주혈(天柱穴)의 사이의 완골혈 아래 털이 돋은 경계에서 위로 1치 올라가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귀 아래 목의 큰 힘줄 바깥쪽 털이 돋은 경계에서 1치 위에 있다[입문]. ○ 침은 1치를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 만일 뜸을 뜨면 얼굴이 붓고 눈이 감긴다. 이럴 때에는 먼저 의회혈(??穴)을 잡고 다음에 천유혈과 풍지혈(風池穴)을 잡아 침을 놓으면 그 병은 곧 낫는다[동인]. 

? ?風二穴 ○ 在耳珠後尖角陷中按之引耳中痛鍼入七分可灸七壯[銅人]

☞ 예풍(?風, 2개 혈) ○ 이주 아래의 우묵한 곳에 있으며 누르면 귓속이 아프다. 침은 7푼을 놓고 뜸은 7장을 뜬다[동인]. 

? ?脈二穴 ○ 一名資脈在耳本後鷄足靑絡脈刺出血如豆汁鍼入一分禁不可灸[銅人]

☞ 계맥(?脈, 2개 혈) ○ 일명 자맥(資脈)이라고도 하는데 귀 뒤 짬에 닭의 발톱 같은 푸른 낙맥이 있는 곳에 있다. 찔러서 팥 삶은 물과 같은 피를 뺀다. 침은 1푼을 놓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 ?息二穴 ○ 一名??在耳後間靑絡脈[銅人] ○ 在耳後上靑脈間[入門] ○ 可灸七壯禁不可鍼[銅人]

☞ 노식(?息, 2개 혈) ○ 일명 노신(??)이라고도 하는데 귀 뒤 푸른 혈맥이 있는 곳에 있다[동인]. ○ 귀 뒤 윗쪽 푸른 혈맥 사이에 있다[입문]. ○ 뜸은 7장을 뜨며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 絲竹空二穴 ○ 一名目?在眉後陷中[銅人] ○ 在眉尾骨後陷中[入門] ○ 鍼入三分留三呼禁不可灸不幸使人目小又令人目無所見[銅人]

☞ 사죽공(絲竹空, 2개 혈) ○ 일명 목료(目?)라고도 하는데 눈썹 바깥쪽 옆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미릉골(眉尾骨) 옆의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침은 3푼을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 뜸을 뜨면 눈이 작아지거나 보지 못한다[동인]. 

? 角孫二穴 ○ 在耳郭中間上開口有空[銅人] ○ 在耳郭上中間髮際下[入門] ○ 可灸三壯禁不可鍼[入門]

☞ 각손(角孫, 2개 혈) ○ 귓바퀴 가운데에서 윗쪽으로 있는데 입을 벌리면 구멍이 생긴다[동인]. ○ 귓바퀴 윗쪽으로 가운데 머리털이 돋은 경계의 아래에 있다[입문]. ○ 뜸은 3장을 뜨며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입문]. 

? 和?二穴 ○ 在耳門前銳髮下陷中橫動脈鍼入三分禁不可灸[銅人]

☞ 화료(和?, 2개 혈) ○ 이문혈 위 털이 돋은 경계의 아래 우묵한 가운데 맥이 뛰는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 耳門二穴 ○ 在耳前起肉當耳中缺者鍼入三分留三呼可灸三壯[銅人]

☞ 이문(耳門, 2개 혈) ○ 귀 앞 도드라진 살의 앞 우묵한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는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제창(諸瘡)] 나력(??) 3 2813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79
[머리(頭)] 허훈(虛暈) 2 1536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3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3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8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진액(津液)] 맥 보는 법[脈法]/진액 1 747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머리(頭)] 뇌풍증(腦風證) 1 859
[눈(眼)] 투침(偸鍼) 1 1424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60
[옆구리(脇)]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1 1200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1
[피부(皮)]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子] 1 1418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7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59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80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9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9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1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