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373 추천 수 0
◎ 子午流注 ○ 流者往也注者住也神氣之流行也十二經每經各得五穴井滎?經合也手不過?足不過膝陽干三十六穴陰干三十穴共成六十六穴陽干多六穴者乃原穴也[入門] ○ 大腸合又有巨虛上廉小腸合又有巨虛下廉三焦合又有委陽也[綱目]

☞ 자오류주(子午流注) ○ 유(流)는 가는 것이고 주(注)는 멎는 것인데 신기(神氣)가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12경맥에는 각각 정(井), 형(滎), 수(?), 경(經), 합(合) 5개의 침혈이 있다. 손에 있는 이 침혈은 팔굽 아래에 다 있고 발에 있는 침혈은 무릎 아래에 있다. 양경맥에 36개 혈과 음경맥에 30개의 침혈이 있는데 모두 66개 혈이다. 양경맥에 6개 혈이 더 많은 것은 원혈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입문]. ○ 대장경의 합혈은 상거허혈(上巨虛穴)과 상렴혈(上廉穴)이고 소장경의 합혈은 하거허혈(下巨虛穴)과 하렴혈(下廉穴)이며 삼초경의 합혈은 위양혈(委陽穴)이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언어(言語)] 폐는 소리를 주관하여 말이 되게 한다[肺主聲爲言] 704
[언어(言語)]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妄] 714
[언어(言語)]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不得語] 836
[언어(言語)] 담이 막히거나 망혈이 되어도 또한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痰塞亡血赤爲?] 870
[언어(言語)] 맥 보는 법[脈法]/언어 618
[언어(言語)] 정성(鄭聲) 647
[언어(言語)]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900
[언어(言語)] 외치는 것[呼] 628
[언어(言語)] 웃음[笑] 705
[언어(言語)] 치료법[治法] 815
[언어(言語)] 노래하는 것[歌] 609
[언어(言語)] 우는 것[哭] 597
[언어(言語)] 신음소리[呻] 691
[언어(言語)] 하품[欠] 741
[언어(言語)] 재채기[?] 793
[언어(言語)] 트림[噫] 711
[언어(言語)] 한숨[太息] 704
[언어(言語)] 몹시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大驚不語] 730
[언어(言語)]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증상[中風不語] 75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언어(言語)] 어린이가 말을 늦게 하는 것[小兒語遲] 682
[언어(言語)] 말을 하게 하는 방법[言語法] 709
[언어(言語)]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언어 615
[언어(言語)] 침뜸치료[鍼灸法]/언어 640
[진액(津液)] 몸 안에 있는 진액[身中津液] 1020
[진액(津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860
[진액(津液)] 맥 보는 법[脈法]/진액 1 747
[진액(津液)]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1186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