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66 추천 수 0
◎ 六合所出所入 ○ 帝曰滎?與合各有名乎岐伯曰滎?治外經合治內府帝曰合各有名乎岐伯曰胃合入于三里大腸合入于巨虛上廉小腸合入于巨虛下廉此三府皆出足陽明也三焦合入于委陽膀胱合入于委中此二府皆出足太陽也膽合入于陽陵泉此一府出足少陽也帝曰取之奈何岐伯曰取三里者低?取之取巨虛者擧足取之委陽者屈伸而索之委中者屈而取之陽陵泉者正竪膝與之齊下至委陽之陽取之[靈樞]

☞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 황제가 형혈과 합혈이 각각 어떤 것인가. 기백이 형혈은 겉에 있는 경맥의 병을 치료하고 합혈은 속의 부병(府病)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황제가 합혈은 각각 어디에 있으며 이름은 무엇인가고 하니 기백이 "족양명위경의 합혈은 족삼리혈(足三里穴)로 들어갔고 수양명대장경의 합혈은 거허혈, 상렴혈로 들어갔으며 수태양소장경의 합혈은 거허혈, 하렴혈로 들어가는데 이 3부의 합혈은 다 족양명경에 있다. 수소양3초경의 합혈은 위양혈로 들어가고 족태양방광경의 합혈은 위중혈로 들어가는데 이 2부의 합혈은 다 족태양경에 있다. 족소양담경의 합혈은 양릉천혈로 들어가는데 이 1부의 합혈은 족소양경에 있다"라고 하였다. 황제가 침혈은 어떻게 잡는가고 하니 기백이 "족삼리혈은 발을 드리우고 잡으며 거허혈은 발을 들고서 잡고 위양혈은 구부렸다 폈다 하면서 잡는 위중혈은 구부리고 잡으며 양릉천혈은 무릎을 바로 세우고 위양혈로 내려가는 바깥쪽에서 잡는다"고 하였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대복피(大腹皮) 74
[나무[木部]] 빈랑(檳郞 ) 69
[나무[木部]] 금앵자(金櫻子) 104
[나무[木部]] 소합향(蘇合香) 112
[나무[木部]] 강진향(降眞香) 161
[나무[木部]] 자단향(紫檀香) 87
[나무[木部]] 백단향(白檀香) 53
[나무[木部]] 곽향(藿香) 71
[나무[木部]] 백교향(白膠香) 81
[나무[木部]] 유향(乳香) 125
[나무[木部]] 침향(沈香) 121
[나무[木部]] 계설향(鷄舌香) 107
[나무[木部]] 정향(丁香) 100
[나무[木部]] 유핵(?核, 유인) 61
[나무[木部]] 두충(杜仲) 99
[나무[木部]] 산수유(山茱萸) 241
[나무[木部]] 오수유(吳茱萸) 오수유엽(吳茱萸葉, 오수유나뭇잎) 식수유(食茱萸) 식수유수피(食茱萸樹皮, 식수유나무껍질) 282
[나무[木部]] 죽실(竹實, 참대열매) 죽근(竹根, 참대뿌리) 죽여(竹茹, 참대속껍질) 죽황(竹黃) 172
[나무[木部]] 죽력(竹瀝, 참대기름) 76
[나무[木部]] 근죽엽(菫竹葉, 왕대잎) 담죽엽(淡竹葉) 고죽엽(苦竹葉, 오죽잎) 248
[나무[木部]] 자목(刺木, 산뽕나무) 80
[나무[木部]] 상두충(桑?蟲, 뽕나무좀벌레) 133
[나무[木部]] 상근백피(桑根白皮, 뽕나무뿌리껍질) 상엽(桑葉, 뽕잎) 상지(桑枝, 뽕나무가지) 상심(桑? , 오디) 상화(桑花, 뽕나무이끼) 상시회림즙(桑柴灰淋汁, 뽕나무잿물) 245
[나무[木部]] 상상기생(桑上寄生, 뽕나무겨우살이) 150
[나무[木部]] 신이(辛夷) 114
[나무[木部]]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92
[나무[木部]]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195
[나무[木部]] 건칠(乾漆, 마른옻) 생칠(生漆, 생옻) 458
[나무[木部]] 저실(楮實, 닥나무열매) 저엽(楮葉, 닥나무잎) 저수피(楮樹皮, 닥나무껍질) 저지(楮紙, 닥나무로 만든 종이) 254
[나무[木部]]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