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378 추천 수 0
◎ 足三焦別? ○ 足三焦者足太陽之別也上?五寸別入貫?腸出于委陽(穴名)?太陽之正入絡膀胱約下焦其病實則閉?虛則遺尿遺尿則補之閉?則瀉之[靈樞]

☞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 족3초는 족태양경에서 갈라진 것인데 바깥 복사뼈에서 5치 올라가서 갈라져 장딴지를 꿰뚫고 위양혈로 가서 족태양경의 본경맥과 합하여 올라가 방광을 얽고 하초로 갔다. 병이 실하면 오줌이 막히고 허하면 유뇨증이 생긴다. 유뇨증이 생기면 보하고 오줌이 막히면 사한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눈(眼)] 부예(浮翳) 300
[풀(草部)] 대청(大靑) 301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잡방(雜方)]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解烟熏] 302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새(禽部)] 백학(白鶴, 두루미) 303
[새(禽部)] 어구(魚狗) 303
[잡방(雜方)] 조가비를 가루내는 방법[造海粉法] 305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변증(辨證)] 5장 기운으로 생기는 병[五氣所病] 310
[새(禽部)] 박로(搏勞) 310
[눈(眼)] 언월예(偃月瞖) 311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새(禽部)] 갈계(?鷄) 312
[해독(解毒)] 서각[犀角] 314
[옹저(癰疽)] 석옹 때 뜸을 뜨는 방법[灸石癰法] 315
[눈(眼)] 조화예(棗花瞖) 316
[눈(眼)] 태환(胎患) 316
[잡방(雜方)] 황랍을 술에 달이는 방법[酒煮蠟法] 316
[나무[木部]] 유화(柳花, 버들개지)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유엽(柳葉, 버들잎)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316
[해독(解毒)] 호리병박중독[苦瓠毒] 317
[소아(小兒)]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317
[새(禽部)] 제고취(??嘴) 317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