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75 추천 수 0
◎ 六經標本 ○ 足太陽之本在?以上五寸中標在兩絡命門命門者目也 ○ 足少陽之本在竅陰之間標在窓籠之前窓籠者耳也 ○ 足少陰之本在內?下上三寸中標在背?與舌下兩?也 ○ 足厥陰之本在行間上五寸所標在背?也 ○ 足陽明之本在?兌標在人迎頰挾頑?也 ○ 足太陰之本在中封前上四寸之中標在背?與舌本也 ○ 手太陽之本在外?之後標在命門之上一寸也 ○ 手少陽之本在小指次指之間上二寸標在耳後上角下外?也 ○ 手陽明之本在?骨中上至別陽標在顔下合鉗上也 ○ 手太陰之本在寸口之中標在腋下動也 ○ 手少陰之本在銳骨之端標在背?也 ○ 手心主之本在掌後兩筋之間二寸中標在腋下三寸也 ○ 凡候此者下虛則厥下盛則熱上虛則眩上盛則熱痛[靈樞]

☞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 족태양경맥의 본(本, 시작하는 곳)은 발꿈치에서 5치 위에 있으며 표(標, 끝나는 곳)는 두 명문(命門, 두 눈)에 있다. 족소양경맥의 본은 규음혈(竅陰穴)이고 표는 창롱(窓籠, 귀)의 앞에 있다. ○ 족소음경맥의 본은 안쪽 복사뼈에서 3치 위에 있으며 표는 배수혈(背?穴)과 혀밑의 두 혈맥에 있다. ○ 족궐음경맥의 본은 행간혈(行間穴)에서 5치 위에 있으며 표는 배수혈에 있다. ○ 족양명경맥의 본은 여태혈(?兌穴)에 있으며 표는 인영(人迎, 즉 숨구멍이 있는 곳이다)에 있다. ○ 족태음경맥의 본은 중봉혈(中封穴) 앞에서 4치 위에 있으며 표는 배수혈과 혀뿌리에 있다. ○ 수태양경맥의 본은 바깥쪽 복사뼈 뒤에 있으며 표는 명문혈에서 1치 위에 있다. ○ 수소양경맥의 본은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 사이에서 2치 위에 있으며 표는 키의 윗쪽 뒤로부터 눈귀로 내려와 있다. ○ 수양명경맥의 본은 팔꿈치 속에서 별양(別陽)에까지 올라가 있으며 표는 이마 아래 귀 위에 있다. ○ 수태음혈의 본은 촌구(寸口)에 있으며 표는 겨드랑이 아래 맥이 뛰는 곳에 있다. ○ 수소음경맥의 본은 예골(銳骨) 끝에 있으며 표는 배수혈에 있다. ○ 수궐음경맥의 본은 손바닥 뒤 2치 위에 두 힘줄 사이에 있으며 표는 겨드랑이에서 3치 아래에 있다. ○ 그러므로 아래가 허하면 차고 아래가 실하면 뜨거우며 위가 허하면 어지럽고 위가 실하면 열이 나고 아프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학질(?疾)] 여러 가지 학질의 증후와 치료[諸?證治] 606
[학질(?疾)] 풍학(風?) 883
[학질(?疾)] 한학(寒?) 843
[학질(?疾)] 열학(熱?) 870
[학질(?疾)] 습학(濕?) 736
[학질(?疾)] 담학(痰?) 944
[학질(?疾)] 식학(食?) 1332
[학질(?疾)] 노학(勞?) 987
[학질(?疾)] 귀학(鬼?) 689
[학질(?疾)] 역학(疫?) 750
[학질(?疾)] 장학(??) 794
[학질(?疾)] 해학(??) 1654
[학질(?疾)]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551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1030
[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1623
[학질(?疾)] 학질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治?須用分陰陽之藥] 641
[학질(?疾)] 학질이 장차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知?將差] 585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法] 980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학질(?疾)] 꺼릴 것[禁忌法] 603
[학질(?疾)]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78
[학질(?疾)] 단방(單方) 593
[학질(?疾)] 침뜸치료[鍼灸法] 485
[온역(瘟疫)]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600
[온역(瘟疫)] 온역의 형태와 증상[瘟疫形證] 613
[온역(瘟疫)] 맥 보는 법[脈法] 542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
[온역(瘟疫)] 대두온증(大頭瘟證) 666
[온역(瘟疫)]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1351
[온역(瘟疫)] 방예하는 법[禳法]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