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66 추천 수 0
◎ 擇鍼灸吉日法 ○ 欲行鍼灸先知行年宜忌及人神所在不與禁忌相應卽可矣若遇急卒暴病不可拘於此法通人達士豈拘此哉[資生] ○ 千金云凡癰疽?腫喉痺客?尤爲急覺病卽宜便治又中風卒急之證須速救療此論甚當夫急難之際命在須臾必待吉日後治之則已淪於鬼錄矣此所以不可拘避忌也惟平居治病於未形選天德月德等日服藥鍼灸可也[資生]

☞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 침이나 뜸을 놓을 때에는 먼저 그 해의 좋고 나쁜 것과 인신(人神)이 있는 곳을 알아서 나쁜 날을 피해야 한다. 그러나 만일 급한 병일 때에는 여기에 구애되어서는 안된다. 지식이 있는 사람들은 이 방법에 구애되지 않는다[자생]. ○ 『천금방』에 대체로 옹저, 정종(?腫), 후비, 객오(客?) 등은 더욱 급한 병이므로 병이 생기면 곧 치료해야 하며 또한 중풍으로 급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속히 구급치료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 말은 아주 정당한 말이다. 급한 병으로 생명이 급할 때에 반드시 좋은 날을 기다려서만 치료하려고 하면 치료하기 전에 죽고 만다. 그러므로 여기에 구애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직 그 외의 병을 치료할 때에 천덕(天德), 월덕(月德) 등의 날을 가려서 약을 먹고 침이나 뜸을 놓을 수 있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폐장(肺臟)]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690
[폐장(肺臟)] 단방(單方)/폐장 855
[신장(腎臟)] 신장의 형태[腎形象] 798
[신장(腎臟)] 신장은 2개가 있다[腎臟有二] 708
[신장(腎臟)] 신장의 위치[腎部位] 1245
[신장(腎臟)] 신장이 주관하는 날짜[腎主時日] 672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신장(腎臟)] 신장이 크고 작은 것[腎臟大小] 710
[신장(腎臟)] 신장이 상한 증상[腎傷證] 1192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2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장(腎臟)] 신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腎病間甚] 739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신장(腎臟)] 두 장기의 부는 하나다[兩臟同一腑] 652
[신장(腎臟)] 신기가 끊어진 증후[腎絶候] 720
[신장(腎臟)] 신장을 수양하는 법[腎臟修養法] 764
[신장(腎臟)] 신장에 대한 도인법[腎臟導引法] 915
[신장(腎臟)] 단방(單方)/신장 955
[담부(膽腑)] 담의 형태[膽形象] 693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
[담부(膽腑)]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膽主決斷] 732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7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5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9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