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56 추천 수 0
◎ 身形應九野 ○ 帝曰身形應九野奈何岐伯曰請言身形之應九野也左足應立春其日戊寅巳丑左脇應春分其日乙卯左肩膺立夏其日戊辰己巳膺喉首頭應夏至其日丙午右手應立秋其日戊申己未右脇應秋分其日辛酉右足應立冬其日戊戌己亥腰尻下竅應冬至其日壬子六府膈下五藏應中州其大禁大禁太乙所在之日及諸戊己是謂天忌日也[靈樞]

☞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 황제가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것은 무엇인가고 하니 기백이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것은 왼쪽발은 입춘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무인일(戊寅日), 기축일(己丑日)이다. 왼쪽 옆구리는 춘분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을묘일(乙卯日)이다. 왼쪽 어깨는 입하에 상응하는데 그 날자는 무진일(戊辰日), 기사일(己巳日)이다. 가슴, 목구멍, 머리는 하지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병오일(丙午日)이다. 오른손은 입추에 상응하는데 그 날자는 무신일(戊申日), 기미일(己未日)이다. 오른쪽 옆구리는 추분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신유일(辛酉日)이다. 오른쪽 발은 입동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무술일(戊戌日), 기해일(己亥日)이다. 허리, 꽁무니 아래의 구멍(전후음)은 동지에 상응하는데 그 날짜는 임자일(壬子日)이다. 6부, 횡격막 아래, 5장은 중주(中州, 중앙)에 상응하는데 그것은 대금날이다. 대금(大禁)이라는 것은 태을신이 있는 날과 모든 무일, 기일인데 이것을 천기일(天忌日)이라고 한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누호(蔞蒿, 물쑥) 570
[채소(菜部)]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664
[채소(菜部)] 백채(白菜, 머위) 627
[풀(草部)] 풀부[草部] ○ 모두 79가지이다. 614
[신(神)] 건망증[健忘] 1876
[눈(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818
[채소(菜部)] 개자(芥子, 겨자씨) 96
[채소(菜部)] 건강(乾薑, 마른생강) 120
[채소(菜部)]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231
[채소(菜部)] 고거근(苦?根, 고거뿌리) 75
[채소(菜部)] 과자(瓜子, 참외씨) 99
[채소(菜部)] 과자엽(瓜子葉, 참외잎) 187
[채소(菜部)] 과자화(瓜子花, 참외꽃) 80
[채소(菜部)] 과체(瓜蒂 , 참외꼭지) 94
[채소(菜部)]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96
[채소(菜部)] 감태(甘苔, 김) 114
[채소(菜部)] 구채자( ?菜子, 부추씨) 146
[채소(菜部)] 궐채미(蕨菜薇, 고비) 84
[채소(菜部)] 균자(菌子, 땅버섯) 131
[채소(菜部)] 고호(苦瓠, 쓴 박) 85
[채소(菜部)] 곤포(昆布, 다시마) 177
[채소(菜部)] 녹각채(鹿角菜) 82
[채소(菜部)] 마고( ?菰, 표고버섯) 154
[채소(菜部)] 백개(白芥, 흰겨자) 71
[채소(菜部)] 백개자(白芥子, 흰겨자씨) 161
[채소(菜部)] 사근(渣芹) 71
[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74
[채소(菜部)] 소산(小蒜, 달래) 93
[채소(菜部)] 야첨과(野甛瓜, 들참외) 97
[채소(菜部)] 월과(越瓜)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