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12 추천 수 0
◎ 鍼灸吉日 ○ 每月甲戌甲申甲寅 ○ 乙巳乙卯乙丑乙亥 ○ 丙子丙申丙午丙戌 ○ 丁卯丁亥丁丑 ○ 戊戌戊申 ○ 己亥 ○ 庚午庚子庚戌庚申 ○ 辛卯辛丑辛亥 ○ 壬午壬子壬戌壬申 ○ 癸丑癸未巳上皆吉日[綱目] ○ 雖云吉日太乙所在及戊巳日不可鍼灸[鍼灸書] ○ 春甲乙夏丙丁四季戊己秋庚辛冬壬癸皆吉 ○ 男喜破日女喜除日男女俱宜開日[入門]

☞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 매달 갑술일(甲戌日), 갑신일(甲申日), 갑인일(甲寅日) ○ 을사일(乙巳日), 을묘일(乙卯日), 을축일(乙丑日), 을해일(乙亥日), ○ 병자일(丙子日), 병신일(丙申日), 병오일(丙午日), 병술일(丙戌日), ○ 정묘일(丁卯日), 정해일(丁亥日), 정축일(丁丑日), ○ 무술일(戊戌日), 무신일(戊申日), ○ 기해일(己亥日), ○ 경오일(庚午日), 경자일(庚子日), 경술일(庚戌日), 경신일(庚申日), ○ 신묘일(辛卯日), 신축일(辛丑日), 신해일(辛亥日), ○ 임오일(壬午日), 임자일(壬子日), 임술일(壬戌日), 임신일(壬申日), ○ 계축일(癸丑日), 계미일(癸未日) 등 이 날들은 다 좋은 날이다[강목]. ○ 비록 좋은 날이라고 하여도 태을신이 있거나 무기일(戊己日)에는 침이나 뜸을 놓아서는 안된다[침구서]. ○ 봄의 갑일, 을일, 여름의 병일, 정일, 4계(3월, 6월, 9월, 섣달)의 무일, 기일, 가을의 경일, 신일, 겨울의 임일, 계일 등은 다 좋은 날이다. ○ 남자는 파일(破日)이 좋고 여자는 제일(除日)이 좋다. 남자와 여자가 다 개일(開日)이 좋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꿈(夢)] 마음이 들떠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魂離不睡] 1209
[꿈(夢)] 지나치게 생각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思結不睡] 997
[꿈(夢)] 늙인이와 젊은이가 잠을 자는 것이 다르다[老少之睡不同] 925
[꿈(夢)] 잠자는 것을 음양과 허실로 가른다는 것[睡辨陰陽虛實] 829
[꿈(夢)] 잠을 편안하게 자지 못하는 것[臥不安] 1051
[꿈(夢)] 몸이 무거우면 눕기를 좋아한다[身重嗜臥] 1362
[꿈(夢)] 사람을 싫어하고 혼자 있으려 하는 것[惡人欲獨處] 1005
[꿈(夢)] 잠을 자는 법[寢睡法] 1089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4
[꿈(夢)] 약 쓰는 방법[用藥法]/꿈 842
[꿈(夢)] 단방(單方)/꿈 730
[꿈(夢)] 침뜸치료[鍼灸法]/꿈 722
[목소리(聲音)] 목소리[聲音]는 신(腎)에서 나온다는 것[聲音出於腎] 978
[목소리(聲音)] 목소리를 듣고 병증을 갈라내는 것[聽聲音辨病證] 860
[목소리(聲音)]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卒然無音] 1024
[목소리(聲音)] 잡병으로 목이 쉰 것[因雜病失音] 1433
[목소리(聲音)] 궐기(厥氣)로 벙어리[?]가 된 것[厥氣爲?] 733
[목소리(聲音)] 벙어리에는 두 가지가 있다[??有二] 672
[목소리(聲音)] 목 쉰 소리[聲嘶] 1222
[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857
[목소리(聲音)] 숨쉴 때 소리가 나는 증상[息有音] 807
[목소리(聲音)] 치료를 못하는 증[不治證] 682
[목소리(聲音)] 상한호혹증에 벙어리가 되는 것[傷寒狐惑聲?] 711
[목소리(聲音)] 소아감리증에 벙어리가 되는 것[小兒疳痢聲?] 694
[목소리(聲音)] 목소리가 변한 데 두루 쓰는 약[通治聲音藥] 1003
[목소리(聲音)] 단방(單方)/목소리 782
[목소리(聲音)] 침뜸치료[鍼灸法]/목소리 658
[언어(言語)] 폐는 소리를 주관하여 말이 되게 한다[肺主聲爲言] 704
[언어(言語)]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妄] 714
[언어(言語)]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不得語] 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