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23 추천 수 0
◎ 鍼灸忌日 ○ 凡鍼灸必忌人神尻神血支血忌瘟?之類急病則一日上忌一時[入門] ○ 每月忌初六十六十八二十二二十四小盡日及弦望晦朔五辰五酉五未及入節前後各一日凶[綱目] ○ 病人本命日不可鍼灸[綱目] ○ 辛未日鍼藥俱忌扁鵲死日也[入門] ○ 男忌除日及戊日女忌破日及己日男女俱忌滿日[入門] ○ 壬辰甲辰己巳丙午丁未日男忌鍼灸 ○ 甲寅乙卯乙酉乙巳丁巳日女忌鍼灸[入門]

☞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註] 미신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대체로 침과 뜸은 인신일(人神日), 고신일(尻神日), 혈지일(血支日), 혈기일(血忌日), 온황일(瘟?日) 등에는 놓지 말아야 한다. 급한 병에는 하루에 2시간 동안만 피한다[입문]. ○ 매달 음력 6일, 16일, 18일, 22일, 24일, 소진일(小盡日), 7일, 보름날(15일), 그믐날(그 달의 마지막 날), 1일, 5진일(五辰日), 5유일(五酉日), 5미일(五未日)과 절기가 바뀌는 전날과 다음날은 다 좋지 않다. ○ 환자의 생일날에는 침이나 뜸을 놓아서는 안된다[강목]. ○ 신미일(辛未日)에는 침을 놓거나 약을 쓰지 못한다. 편작은 이날을 죽는 날이라고 하였다[입문]. ○ 남자는 제일과 무일을 가리고 여자는 파일과 기일을 가리며 남자와 여자가 다 만일(滿日)을 가린다[입문]. ○ 임진일(壬辰日), 갑진일(甲辰日), 기사일(己巳日), 병오일(丙午日), 정미일(丁未日) 등에는 남자에게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한다. ○ 갑인일(甲寅日), 을묘일(乙卯日), 을유일(乙酉日), 을사일(乙巳日),정사일(丁巳日) 등에는 여자에게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하(下)] 설사시키는 약[下藥] 1222
[진액(津液)]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1226
[머리(頭)] 편두통(偏頭痛) 1226
[비장(脾臟)] 비병의 허증과 실증[脾病虛實] 1228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화(火)] 적열(積熱) 1230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제상(諸傷)] 넘어졌거나 얻어맞았거나 떨어졌거나 깔려 상한 것[ 撲墮落壓倒傷] 1230
[소아(小兒)] 감창(疳瘡) 1230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침구(針灸)] 기경8맥(奇經八脈) 1233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배(腹)] 차서 배가 아픈 것[寒腹痛] 1233
[담음(痰飮)] 담궐(痰厥) 1237
[제창(諸瘡)] 신장풍창(腎臟風瘡) 1239
[기(氣)] 중기(中氣) 1240
[배(腹)] 복통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腹痛有虛實] 1243
[풀(草部)] 갈근(葛根, 칡뿌리) 갈생근(葛生根, 생칡뿌리) 갈곡(葛穀, 칡씨) 갈엽(葛葉, 칡잎) 갈화(葛花, 칡꽃) 갈분(葛粉, 칡가루) 1245
[신장(腎臟)] 신장의 위치[腎部位] 1245
[화(火)] 폐열(肺熱) 1247
[기(氣)] 기가 치미는 것[氣逆] 1248
[머리(頭)]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頭目不淸利] 1248
[화(火)] 화열을 두루 치료하는 약을 쓰는 법[通治火熱藥法] 1249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대변(大便)] 대변불통(大便不通) 1251
[머리(頭)] 정두통(正頭痛) 1252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발(足)] 학슬풍(鶴膝風) 1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