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웅이아빠 2009.05.27 조회 수 3241 추천 수 0

창만(脹滿)

腹部만 脹大하고 面目四肢에는 浮腫이 없는 것으로 간경화복수, 만기흡혈충병, 복강내악성 종양, 결핵성복막염에서 보이는 복수형성이 本證과 유사하다. 복부의 크기가 북과 같고 피부색이 창황하고 정맥이 폭로되는 것이 특징인 증후로,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① 실창(實脹) : 氣滯濕阻型(腹脹 按之不堅 脇下脹滿 或 疼痛 飮食減少 食後作脹 ?氣不爽 小便短少 舌苔白? 脈弦)과 熱鬱血瘀型(腹大堅滿 脇腹刺痛 飮食如常 甚則?黑 或 目黃膚黃 頭頸胸臂蜘蛛狀血管腫 口唇紫赤 煩熱口乾 小便短少 大便秘結 或?泄 舌質紫紅 苔上黃? 脈細弦數).

② 허창(虛脹) : 脾腎陽虛型(腹部脹滿 朝寬暮急 脘悶食少 神倦畏寒 四肢寒冷 或下肢浮腫 小便短少 面色蒼黃 或皎白 舌質淡紫 脈沈細而弦)과 肝腎陰虛型(腹大堅滿 甚則靜脈怒張 面色?黑 脣紫 口燥 心煩 齒鼻出血 小便短赤 舌質紅絳少津 脈弦細數).

③ 한창(寒脹) : 腹滿濡 時減 吐利厥冷. 위중한기로 인해 복만이 부드럽고 때때로 덜하기도 하며 토리, 수족궐냉, 불욕음식, 맥침지한 경우.

④ 열창(熱脹) : 飮食如故 腹中脹滿. 양성음허로 음식여고, 복중창만 혹은 발열, 대변결, 소변적, 맥부수한 경우.

⑤ 곡창(穀脹) : 失飢傷飽 毗悶停酸 朝則能食 暮則不能食. 음식부절로 완복창만견경, 비민정산, 조칙능식, 모칙불능식한 경우.

⑥ 수창(水脹) : ??有聲 ?? 喘息. 비습으로 녹녹유성, 정충, 천식의 증상이 있는 경우.

⑦ 기창(氣脹) : 身體腫大 四肢瘦削. 칠정울결로 신체종대하고, 사지는 마르며, 음식감소한 경우.

⑧ 혈창(血脹) : 煩躁 漱水 迷忘 驚狂 痛悶 嘔逆 小便多 大便黑. 어혈로 복창, 번조하나 수수하며 경광, 구역, 소변적, 대변흑한 경우.

⑨ 고창(蠱脹) : 面目四肢不腫而 腹?脹起 中空似鼓. 수고로 속은 비고 겉은 단단하여 종대하며 사지가 몹시 마르나 안면부종한 경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1 [아] 유벽(乳癖) profile 웅이아빠 3388
220 [다] 대하(帶下) profile 웅이아빠 3388
219 [나] 뇨탁(尿濁) profile 웅이아빠 3393
218 [마] 매핵기(梅核氣) profile 웅이아빠 3407
217 [아] 안혼안화질환(眼昏眼花疾患) profile 웅이아빠 3414
216 [가] 궐증(厥證) 1 profile 웅이아빠 3421
215 [하] 해혈(咳血) profile 웅이아빠 3425
214 [차] 치매(痴?) profile 웅이아빠 3427
213 [가] 골위증(骨?證) profile 웅이아빠 3428
212 [자] 자수(子嗽) profile 웅이아빠 3434
211 [자] 자증질환(刺證疾患) profile 웅이아빠 3439
210 [가] 금구(?口) profile 웅이아빠 3457
209 [바] 방로복(房勞復) profile 웅이아빠 3485
208 [사] 소장병증(小腸病證) profile 웅이아빠 3495
207 [바] 복피마비(腹皮麻痺) profile 웅이아빠 3496
206 [가] 기병증(氣病證) profile 웅이아빠 3499
205 [사] 신양울축증(腎陽鬱縮證) profile 웅이아빠 3517
204 [바] 비병증(脾病證) profile 웅이아빠 3519
203 [타] 태위부정(胎位不正) profile 웅이아빠 3527
202 [아] 오경(五硬) profile 웅이아빠 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