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천(哮喘)

웅이아빠 2009.05.27 조회 수 3345 추천 수 0

효천(哮喘)

갑작스럽게 발하는 호흡곤란, 후간 천명음을 임상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① 허증효천(虛證哮喘) : 喘促氣短 語言無力 咳聲低微 自汗惡風 或 咽喉不利 口乾面紅 舌質偏紅하며 脈軟弱한 것은 肺虛, 喘促日久 呼多吸少 動則喘息甚 形瘦身疲 汗出 面靑脣紫 肢冷 甚則肢體浮腫 小便不利 心悸不安 舌質淡靑脈沈細한 것은 心腎虛損, 咳嗽로 인하여 哮喘이 九不愈하여 肺腎不足한데 다시 外邪가 侵犯하여 哮喘胸悶 咳嗽多痰 動則氣短尤甚 腰?肢冷 下肢浮腫 汗出 心悸 舌苔? 脈沈細 或 濡滑無力한 症狀이 나타나는 것은 上實下虛로 因한 哮喘이다.

② 실증효천(實證哮喘) : 實證哮喘은 外感風寒으로 因한 것과 痰濕內盛으로 因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外感風寒으로 因한 哮喘은 氣喘咳嗽 喀痰稀薄色白하며 初에는 惡寒 頭痛 身痛 等이 兼發하고 口不渴 舌苔薄白 脈浮緊하다. 痰濕內盛은 다시 痰濕, 寒痰, 痰熱의 三種으로 나누어진다. 氣喘咳嗽 痰多粘? 喀出不爽 胸中滿悶 惡心 口淡無味 舌苔白? 脈濡滑한 것은 痰濕으로 因한 哮喘이고, 天冷易發 呼吸急促 喘鳴有聲 咳痰淸稀色白 泡沫狀 胸膈滿悶 面色晦而帶靑 形寒?冷 口不渴 渴喜熱飮 舌苔白 滑脈弦緊或弦滑한 것은 寒痰으로 因한 哮喘이며, 呼吸急促 息高氣粗 咳?陳作痰粘稠色黃 胸膈滿悶 燥煩不安 面赤自汗 口渴喜飮 或發熱 舌質紅 苔黃? 脈滑數한 것은 痰熱로 因한 哮喘이다.

③ 수효(水哮) : 胸中에 물이 있어 哮喘이 發하는 것을 水哮라 한다.

④ 냉한효(冷寒哮) : 風寒을 만나거나 飮冷水가 하나의 因子로 작용하여 發하는 哮喘을 冷寒哮라 한다.

⑤ 풍담효(風痰哮) : 風痰이 肺에 聚하여 發하는 것을 風痰哮라 한다.

⑥ 식효(食哮) : 食事時에 哮가 發하는 것을 食哮라 한다.

⑦ 열효(熱哮) : 열담이 몰려 폐기를 막아 생긴다. 胸悶 不安 黃痰 舌赤 脈滑數.

⑧ 기효(氣哮) : 기허로 인한 효천증.

⑨ 한포열효(寒包熱哮) : 寒氣를 만나면 喉中에서 닭 우는소리가 나는 것으로 積痰이 肺에 있어 絡中에 이른 所致이다.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환절기마다 천식 증상 by 그뤼미오 *1
  2. 임상 경험방 [축심여] 효천 哮喘病 by 한닥터
  3. 한의 상병명 해설 천증(喘證) by 웅이아빠
  4. 침구 처방집 해수 [鍼灸法] + 咳嗽門 咳逆門 [사암침구요결]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1 [자] 자하리-自下利 profile 한닥터 166
360 [아] 오풍 惡風 profile 한닥터 175
359 [바] 발열 發熱 profile 한닥터 258
358 [사] 사지침중동통 四肢沈重疼痛 profile 한닥터 285
357 [사] 소변불리- 小便不利 profile 한닥터 339
356 [자] 自汗 자한 profile 한닥터 555
355 [타] 투유(妬乳) profile 웅이아빠 2511
354 [하] 흑정질환(黑睛疾患) profile 웅이아빠 2542
353 [타] 통풍(痛風) profile 웅이아빠 2563
352 [자] 졸중풍(卒中風) 1 profile 웅이아빠 2591
351 [자] 증후성비질환(證候性鼻疾患) profile 웅이아빠 2761
350 [사] 순질환(脣疾患) profile 웅이아빠 2773
349 [파] 파상풍(破傷風) 1 profile 웅이아빠 2776
348 [자] 좌비질환(좌비疾患) profile 웅이아빠 2779
347 [자] 중오(中惡) profile 웅이아빠 2814
346 [자] 적취(積聚) profile 웅이아빠 2823
345 [하] 후사증(喉?證) profile 웅이아빠 2834
344 [아] 임증(淋證) profile 웅이아빠 2839
343 [사] 심하역만(心下逆滿) profile 웅이아빠 2842
342 [사] 설뉵(舌?) profile 웅이아빠 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