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열(火熱)

웅이아빠 2009.05.27 조회 수 4446 추천 수 0

화열(火熱)

화열은 실화, 허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골증열, 오심열, 조열, 허번으로 분류한다.

① 실화(實火) : 脈洪盛有力하고 음식을 섭취할 수 있으며 內外部가 다 熱하고 대소변이 불리하다.

② 허화(虛火) : 脈虛弱無力하고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며 自汗, 氣短이 있고 口燥하나 渴하지 않다.

③ 상초화(上焦火) : 眼目赤腫, 頭項腫痛, 口舌生瘡한 경우를 말한다.

④ 중초화(中焦火) : 胸膈煩燥, 飮食不味한 경우를 말한다.

⑤ 하초화(下焦火) : 小便赤澁, 大便秘結한 경우를 말한다.

⑥ 골증열(骨蒸熱) : 陰氣가 부족하고 血氣의 不榮으로 骨髓가 ?渴되어 咳嗽發熱, 喀血吐痰, 遺精, 盜汗, 白濁, 肌肉消瘦 등을 나타낸다.

오심열(五心熱) : 火鬱로 手足掌心과 心臟部가 다 熱한 것을 말한다.

⑧ 조열(潮熱) : 發熱이 潮水와 같이 일정한 시간에 나타난다.

⑨ 허번(虛煩) : 心胸이 煩擾하여 평안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1개의 댓글

Profile
웅이아빠
2009.05.27
?熱瀉火之劑
人參?肌散 附方人參散 元參升麻湯 活人 附方陽毒升麻湯
升陽散火湯 東垣 附方火鬱湯 玉屑無憂散 陳無擇
甘露? 太平惠民和劑局方 附方水逆,桂?甘露? 白朮除?湯 東垣
白頭翁湯 傷寒卒病論 石膏散
如意金黃散 外科正宗 別名金黃散 利膈湯 本事方
辛夷散 防風散 聖濟總錄
附子瀉心湯 傷寒卒病論 附方三黃瀉心湯 桔梗湯 傷寒卒病論 別名甘桔湯
柴胡?肝湯 一貫堂 消斑?黛? 節庵
梔子?湯 傷寒卒病論 附方梔子大黃湯,梔子甘草?湯,梔子生薑?湯,??湯,犀角大?湯,枳實梔子?湯 ?心蓮子? 太平惠民和劑局方
?震湯 河間 連梅湯 溫病條辨
腎熱湯 千金 黃連上?丸
補脾胃瀉陰火升陽湯 東垣 導赤各半湯
瀉黃散 小兒藥證直訣 響聲破笛丸 萬病回春 別名鐵笛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1 [자] 자하리-自下利 profile 한닥터 166
360 [아] 오풍 惡風 profile 한닥터 175
359 [바] 발열 發熱 profile 한닥터 258
358 [사] 사지침중동통 四肢沈重疼痛 profile 한닥터 285
357 [사] 소변불리- 小便不利 profile 한닥터 339
356 [자] 自汗 자한 profile 한닥터 556
355 [타] 투유(妬乳) profile 웅이아빠 2511
354 [하] 흑정질환(黑睛疾患) profile 웅이아빠 2542
353 [타] 통풍(痛風) profile 웅이아빠 2563
352 [자] 졸중풍(卒中風) 1 profile 웅이아빠 2591
351 [자] 증후성비질환(證候性鼻疾患) profile 웅이아빠 2761
350 [사] 순질환(脣疾患) profile 웅이아빠 2774
349 [파] 파상풍(破傷風) 1 profile 웅이아빠 2776
348 [자] 좌비질환(좌비疾患) profile 웅이아빠 2779
347 [자] 중오(中惡) profile 웅이아빠 2814
346 [자] 적취(積聚) profile 웅이아빠 2823
345 [하] 후사증(喉?證) profile 웅이아빠 2834
344 [아] 임증(淋證) profile 웅이아빠 2839
343 [사] 심하역만(心下逆滿) profile 웅이아빠 2842
342 [사] 설뉵(舌?) profile 웅이아빠 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