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暑病)

웅이아빠 2009.05.27 조회 수 2980 추천 수 0

서병(暑病)

서병은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① 중서(中暑) : 咳嗽하며 寒熱을 發하며 盜汗이 그치지 않고 脈이 잦은 것은 熱이 肺經에 있는 것으로 中暑라고 한다.

② 감서(感暑) : 大腸이 暑를 받으면 腹痛?水瀉하고 胃口에 痰飮이 있으면 惡心嘔吐하는데 이것을 아울러서 冒暑라고 한다.

③ 상서(傷暑) : 身熱하며 頭痛하고 躁亂하여서 편안하지 못하고 或은 身이 鍼刺하는 것과 같은 症은 熱에 상한 것이 肉分에 있는 것으로 傷暑라고 한다. 서는 양사로서 그 성질이 담열하기 때문에 인체 양열이 편성하고 기능이 항진되는 양상을 보이며, 고열, 한출, 번갈, 맥홍대한다. 서의 상승, 발산하는 성질은 쉽게 주리개설을 항진시켜 다한하게 되고, 한출과다는 진액과 기, 심신의 손상을 초래하여 구갈희음, 순건설조, 기단핍력, 소기라언심번민란하게 된다.

④ 서풍(暑風) : 暑風을 暑癎이라고도 하며 주요증상은 몸에 壯熱이 나고 抽?痙攣하며 急驚風과 相似하다. 발병원인은 暑熱이 外濕하고 그 열이 극하여 肝風을 引動하기 때문이다. 임상증후는 手足??, 壯熱汗出, 呼吸氣粗, 心煩口渴欲飮, 小便黃赤 또는 便閉不通하고, 병세가 좀 심하면 口?神迷, 角弓反張이 있다.

⑤ 서궐(暑厥) : 暑厥의 주된 증상은 不省人事이다. 이의 발병 원인은 대개 소아의 체질은 약하고 元氣는 虛弱한데다 暑熱之邪를 받아 營血을 迫하여 心包로 逆轉하거나 또는 暑邪挾濕으로 濕濁이면 生痰하고 痰濁이면 相衝하여 心竅를 蒙蔽하여 神志昏?, 人事不省의 증상이 나타난다.

⑥ 서간(暑癎) : 小兒에게 暑溫으로 나타나는 驚厥.

⑦ 서경(暑痙) : 暑溫의 邪를 感受하여 四肢가 抽?하는 것으로, 發痙이 급작스러우며, 심지어는 角弓反張의 증상이 나타난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21 [아] 외비의 질환(外鼻疾患) profile 웅이아빠 2962
320 [하] 해로(解?) profile 웅이아빠 2970
319 [아] 오심(惡心) profile 웅이아빠 2974
318 [차] 치병(痔病) 1 profile 웅이아빠 2975
317 [바] 백후증(白喉證) profile 웅이아빠 2977
316 [바] 비만증(肥滿證) profile 웅이아빠 2980
[사] 서병(暑病) profile 웅이아빠 2980
314 [하] 후풍질환(喉風疾患) profile 웅이아빠 2985
313 [자] 중풍후유증(中風後遺症) profile 웅이아빠 2988
312 [하] 허손(虛損) profile 웅이아빠 2994
311 [자] 주상증(酒傷症) profile 웅이아빠 2997
310 [사] 상한증 1 profile 웅이아빠 2998
309 [사] 사질환(?疾患) profile 웅이아빠 2999
308 [자] 적유풍(赤遊風) profile 웅이아빠 3006
307 [아] 오연(五軟) profile 웅이아빠 3010
306 [아] 외이도질환(外耳道疾患) profile 웅이아빠 3010
305 [자] 전증질환 profile 웅이아빠 3013
304 [하] 황달(黃疸) profile 웅이아빠 3015
303 [자] 조잡(?雜) 1 profile 웅이아빠 3021
302 [아] 월경량의 이상(月經量의 異常) profile 웅이아빠 3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