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중질환(口中疾患)

웅이아빠 2009.05.28 조회 수 3156 추천 수 0

구중질환(口中疾患)

구중질환은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① 구강 제증후 : 구강내 제증상은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 구산(口酸)

㉡ 구고(口苦)

㉢ 구감(口甘)

㉣ 구신(口辛)

㉤ 구함(口鹹)

㉥ 구삽(口澁)

㉦ 구내건조증(口內乾燥證)

㉧ 구각유연(口角流涎) : 침을 많이 흘리는 것으로 연하, 구토연, 다타라 하며, 소아에서 나타나는 것은 체신이라 한다.

㉨ 구취(口臭) : 구중에서 성예한 냄새가 나는 것.

㉩ 구중비양(口中飛瘍)

② 구창(口瘡) : 구내의 기육이 염황색 혹은 회백색, 심할 경우에는 선홍색을 띠고 큰 것은 두상, 작은 것은 성상을 보이면서 점상의 궤양과 작열감, 동통 혹은 자통이 나타나는 것으로 구설생창, 구중감창, 구파, 구감, 구창이라 한다. 증상의 경중에 따라 미란과 부육이 극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구미란, 구미, 구내미부라 하며, 소아에서 주로 발생되는 것을 구감, 아구창이라 하고, 구각의 주위에 일어나는 것은 구아창, 구물창, 연구, 구비창이라 하였다.

③ 구미란(口?爛)

④ 구감(口疳)

⑤ 구각궤양(口角潰瘍)

⑥ 구수증(口水證)

⑦ 중악증(重顎證)

⑧ 상악창(上顎瘡)

⑨ 상악옹(上顎癰) : 구중에 돌연히 혈포가 발생되는 것으로 마치 현옹수에 혈포가 홍기를 궤현한 형상을 보인다 하여 현기풍, 수옹, 현기소설이라 하였다. 또 혈포가 상악에 있어서 때때로 기가 불통되고 음식물도 넘어가지 않으며 설중에서 비양하여 구중에 만하게 되어 비양후라 하였다. 현옹, 현기, 현기고독풍이라고도 하였다.

⑩ 함시창(含?瘡) : 시역사독으로 인해 시협부가 종창되고 흔열동통하며 창양이 발생되는 것으로 자시, 자발, 시독, 탑시종 또는 합막온, 대두온, 하막온, 로자온이라 하여 온역병의 일종이다. 종창의 부위에 따라 자시 및 자발은 시협의 외면에서 나타나는 것이고, 함시창은 내면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1 [가] 가통(嫁痛) 1 profile 웅이아빠 8668
360 [가] 경간기출혈(經間期出血) profile 웅이아빠 8605
359 [나] 나력(??) profile 웅이아빠 7893
358 [가] 간실증(肝實證) profile 웅이아빠 7891
357 [가] 간허증(肝虛證) 1 profile 웅이아빠 7787
356 [가] 간풍내동(肝風內動) profile 웅이아빠 7458
355 [아] 아침통, 산후복통(兒枕痛, 産後腹痛) profile 웅이아빠 7443
354 [가] 각화성 피부질환(角化性 皮膚疾患) 1 profile 웅이아빠 6997
353 [가] 경행부지(경기연장)[經行不止(經期延長)] profile 웅이아빠 6898
352 [아] 영류지증질환(?瘤?證疾患) profile 웅이아빠 6733
351 [사] 소아매병(小兒?病) profile 웅이아빠 6714
350 [사] 사초특이병증(四焦特異病證) profile 웅이아빠 6701
349 [사] 신허증(腎虛證) profile 웅이아빠 6667
348 [사] 산후배뇨이상(産後排尿異常) profile 웅이아빠 6537
347 [가] 견비통증(肩臂痛症) profile 웅이아빠 6459
346 [사] 산후발열(産後發熱) profile 웅이아빠 6408
345 [하] 활태(滑胎) profile 웅이아빠 6346
344 [가] 감모(感冒) 1 profile 웅이아빠 6338
343 [사] 산후정지이상(産後情志異常) profile 웅이아빠 6201
342 [사] 산후혈훈(産後血暈) profile 웅이아빠 6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