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병증(膽病證)

웅이아빠 2009.05.29 조회 수 3859 추천 수 0

담병증(膽病證)

담의 생리기능이 실조되어 나타나는 병증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① 담실증(膽實證) : 肝熱亢盛하거나 氣血에 熱이 있어 膽經脈을 鬱滯하여 생긴 병증. (勇敢 易怒 多睡) 간담의 기가 울체하여 화화하거나, 혹은 풍열외사가 담경에 조체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두량측통 및 목자종통, 구고인건, 두훈목훈, 구토고즙 흉만협통, 역노, 야매불안, 다몽하고 더러 한열왕래가 있으며, 설홍태황, 맥현수하다.

② 담허증(膽虛證) : 肝血不足, 氣血不足으로 膽經脈이 기능을 상실하여 생긴 병증. (勇敢하지 못하고 恐懼而卑怯 不能獨臥 煩躁不眠 或淚液流出 太息發 頭暈目眩口苦惡心) 정지가 울결하여 담이 생하고 담열이 내요하므로 담이 소설하지 못하고 위도 화항하지 못하는 것이다. 담은 청정한 부인데 담열이 내요하여 기가 영정하지 못하므로 번조불매, 경계불영하고, 담탁이 조체되어 담이 소설하지 못하고 기기가 불창하므로 흉민, 선태식하게 되며, 위가 화항하지 못하므로 담오작토하고 맥은 현골하며 설태백골백니하다.

③ 담열증(膽熱證) : 肝膽濕熱의 相搏所致(右脇이 陣發性 劇痛하며 黃疸 尿澁黃赤 口苦 咽乾 寒熱往來 혹은 惡心嘔吐 食少腹脹 舌紅苔黃하고 脈弦數).

④ 담한증(膽寒證) : 氣血이 虛해지면 肝心經의 火化기능이 弱해져서 膽經脈의 溫養기능이 虧弱해지는 所致 (吐酸水 右脇下痛 不食菜蔬).

⑤ 담창증(膽脹證) : 肝氣가 舒暢하지 못하고, 膽經脈이 壅塞된 所致 (脇下脹痛 口苦 太息).

⑥ 담단증(膽?證) : 膽熱이 瀉出되지 않고 上溢하여 생긴 병증 (口中에서 苦味를 느낀다).

⑦ 담황증(膽黃證) : 大驚 大恐 或은 爭鬪로 인한 負傷으로 膽이 損傷되어 發黃 (공포감이 지속 或昏沈困倦 身體가 점차적으로 發黃).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21 [아] 오연(五軟) profile 웅이아빠 3010
320 [하] 해로(解?) profile 웅이아빠 2970
319 [타] 태질(胎疾) profile 웅이아빠 3272
318 [사] 신생아의 제(臍)와 관련된 병태(病態) profile 웅이아빠 4331
317 [가] 금구(?口) profile 웅이아빠 3457
316 [자] 제풍(臍風) profile 웅이아빠 3130
315 [자] 중오(中惡) profile 웅이아빠 2814
314 [아] 영유아의 호흡정지발작(呼吸停止發作) profile 웅이아빠 5860
313 [차] 체이(滯?) profile 웅이아빠 3265
312 [차] 초생아 촬구(初生兒 撮口) profile 웅이아빠 4641
311 [사] 소아 현유(小兒 ?乳) profile 웅이아빠 5350
310 [사] 신함(?陷) profile 웅이아빠 3241
309 [사] 신전(?塡) profile 웅이아빠 2934
308 [가] 감증(疳症) profile 웅이아빠 5367
307 [사] 소아매병(小兒?病) profile 웅이아빠 6714
306 [가] 간증(癎症) profile 웅이아빠 5138
305 [가] 경증(驚症) profile 웅이아빠 3824
304 [가] 객오(客?) profile 웅이아빠 5715
303 [아] 야제(夜啼) profile 웅이아빠 3382
302 [나] 내조(內釣) profile 웅이아빠 3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