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50 추천 수 0
◈ 秋露水 ○ ??이슬믈性平味甘無毒止消渴令人身輕不飢肌肉悅澤朝露未晞時拂取用之 ○ 在百草頭露愈百疾 ○ 栢葉上露主明目 ○ 百花上露令人好顔色[本草] ○ 繁露水者是秋露繁濃時露也作盤以收之食之延年不飢[本草] ○ 秋露水者稟收斂肅殺之氣故可以烹煎殺?之藥及調付殺癩?疥癬諸?之劑也[正傳]

☞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 성질은 평(平)하며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소갈증을 낫게 하고 몸을 가벼워지게 하며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또한 살빛을 윤택해지게 한다.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이슬을 받아 쓴다. ○ 백가지의 풀 끝에 맺힌 이슬[百草頭露]로는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 측백나무잎 위의 이슬은 눈을 밝아지게 한다. ○ 백가지 꽃 위의 이슬은 얼굴빛을 좋아지게 한다[본초]. ○ 번로수(繁露水)라는 것은 이슬량이 많고 진한 가을의 이슬을 말한다. 이것을 쟁반에 받아서 먹으면 오랫동안 살 수 있고 배도 고프지 않다[본초]. ○ 가을의 이슬은 걷어 들이고 숙살(肅殺)의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헛것을 없애는 약을 달이거나 문둥병, 옴, 버짐에 쓰거나 여러 가지 충을 죽이는 약을 개서 붙일 수 있다[정전].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600 [탕액편] 절지(竊脂) 6679
599 [가] 과루근(瓜蔞根,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5948
598 [가] 계지(桂枝) 계피(桂皮) 계심(桂心) 5941
597 [가] 괴화(槐花, 홰나무꽃) 4497
596 [가]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3173
595 [가] 고삼(苦蔘, 너삼) 3152
594 [가] 갈근(葛根, 칡뿌리) 2834
593 [가] 귤피(橘皮, 귤껍질) 진피(陳皮, 귤껍질) 2682
592 [가] 구기자(枸杞子) 2604
591 [아] 유백피(楡白皮, 느릅나무껍질) 2581
590 [자]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2529
589 [하] 황금(黃芩, 속썩은풀) 2468
588 [탕액편]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2406
587 [가] 강활(羌活, 강호리) 2360
586 [가] 강황(薑黃)+ 2352
585 [탕액편] 12제(十二劑) 2323
584 [차] 치자(梔子, 산치자) 2165
583 [바] 복령(茯苓 , 솔풍령) 2159
582 [탕액편] 7방(七方) 2126
581 [가] 길경(桔梗, 도라지)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