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온천물[溫泉]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54 추천 수 0
◈ 溫泉 ○ 더운?믈主諸風筋骨攣縮及皮膚頑痺手足不遂大風疥癬者入浴浴乾當虛憊可與藥食補養[本草] ○ 溫泉性熱有毒切不可飮患疥癩及楊梅瘡者飽食入池久浴得汗出乃止旬日諸瘡皆愈[食物] ○ 下有硫黃卽令水熱硫黃主諸瘡病水亦宜然水有硫黃臭故愈風冷爲上[本草]

☞ 온천물[溫泉]

○ 여러 가지 풍증으로 힘줄과 뼈마디가 오그라드는 것[筋骨攣縮]과 피부의 감각이 없어지고[皮膚頑痺]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증, 문둥병, 옴, 버짐이 있을 때 이 물에 목욕한다. 목욕하고 나면 허해지고 피곤하므로 약이나 음식으로 보해야 한다[본초]. ○ 온천물은 성질이 열(熱)하고 독이 있기 때문에 마시지 말아야 한다. 옴이나 문둥병이나 양매창(陽梅瘡) 때에는 음식을 배불리 먹은 다음 들어가서 오랫동안 목욕해야 하는데 땀이 푹 나면 그만두어야 한다. 이렇게 10일 정도 하면 모든 창병이 다 치료된다[식물]. ○ 온천 밑에는 유황(硫黃)이 있기 때문에 물이 덥다. 유황으로는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할 수 있으므로 유황이 들어 있는 온천물도 마찬가지이다. 온천물에서 유황냄새가 나기 때문에 풍증이나 냉증을 치료하는데 아주 좋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40 [탕액편] 속미(粟米, 좁쌀) 482
239 [탕액편]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785
238 [탕액편]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836
237 [탕액편] 두황(豆黃, 콩가루) 478
236 [탕액편] 여두(?豆, 쥐눈이콩) 651
235 [탕액편] 대두(大豆, 콩) 487
234 [탕액편]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07
233 [탕액편]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521
232 [탕액편] 마근(麻根, 삼뿌리) 395
231 [탕액편] 마엽(麻葉, 삼잎) 476
230 [탕액편] 마분(麻?, 삼꽃가루) 411
229 [탕액편] 마자(麻子, 삼씨) 493
228 [탕액편]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61
227 [탕액편]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46
226 [탕액편]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458
225 [탕액편]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849
224 [탕액편] 청양(靑?, 검정참깨잎) 913
223 [탕액편]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964
222 [탕액편]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505
221 [탕액편] 양상진(梁上塵) 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