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육천기(六天氣)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20 추천 수 0
◈ 六天氣 ○ 服之令人不飢長年美顔色[本草] ○ 陵陽子明經言春食朝霞日欲出時向東氣也秋食飛泉日欲沒時向西氣也冬食沆瀣北方夜半氣也夏食正陽南方日中氣也幷天玄地黃之氣是爲六氣[本草] ○ 人有急難阻絶之處用之如龜蛇服氣不死昔人墮穴中其中有蛇每日如此服氣其人依蛇時節日日服之漸覺體輕啓蟄之後人與蛇一時躍出焉[本草]

☞ 육천기(六天氣)

○ 이것을 마시면 배가 고프지 않고 오랫동안 살며 얼굴이 고와진다[본초]. ○ 능양자(陵陽子)의 명경(明經)에 봄에 아침 노을[朝霞]을 마신다는 것은 해가 뜰 때에 동쪽을 향하고 공기를 마신다[東氣]는 것이고 가을에 샘물(飛泉)을 마신다는 것은 서쪽의 공기를 마신다는 것이며 겨울의 이슬은 북쪽의 공기를 마시는 것이며 여름의 정양(正陽)은 한낮에 남쪽을 향하고 공기를 마신다는 것이다. 여기에 하늘의 검은 기운[天玄之氣]과 땅의 누런 기운[地黃之氣]까지 합하면 6기가 된다[본초]. ○ 난리를 만나 급하게 사람이 살지 않던 곳에 갔을 때에 이 방법을 쓴다. 이 방법을 쓰면 마치 남생이(龜)나 뱀이 공기를 마시기 때문에 죽지 않는 것과 같이 된다. 옛날 어떤 사람이 땅굴 속에 떨어졌을 때 그 속에 있는 뱀이 매일 이렇게 공기를 마시고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그 사람도 뱀이 하는 대로 철따라 날마다 공기를 마셨는데 점점 몸이 가벼워졌다고 한다. 그 후 경칩이 지난 뒤에 뱀과 같이 땅굴 속에서 나왔다고 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40 [자]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2529
439 [아] 유백피(楡白皮, 느릅나무껍질) 2581
438 [바] 백렴(白 , 가위톱) 1996
437 [바] 백급(白?) 1474
436 [바] 백부자(白附子, 노랑돌쩌귀) 1802
435 [가] 괴화(槐花, 홰나무꽃) 4497
434 [탕액편] 약으로 쓰는 물㈜[水部] 427
433 [탕액편]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02
432 [탕액편]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514
431 [탕액편]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497
430 [탕액편]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36
429 [탕액편]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468
428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427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
426 [탕액편]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26
425 [탕액편] 박(雹, 우박) 473
424 [탕액편] 하빙(夏氷, 여름철의 얼음) 540
423 [탕액편]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544
422 [탕액편]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450
421 [탕액편] 반천하수(半天河水)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