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백악(白惡, 백토)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68 추천 수 0
◈ 白堊 ○ ?토性溫(一作平)味苦辛(一作甘)無毒能澁腸止痢[本草] ○ 一名白善土不可久服傷五藏令人羸瘦[本草] ○ 卽今晝工所用白土也火?硏?湯飛過?乾用[入門]

☞ 백악(白惡, 백토)

○ 성질이 따뜻하고[溫]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쓰면서 맵고[苦辛] (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삽장(澁腸) 작용이 있어 이질을 멎게 한다[본초]. ○ 이것을 백선토(白善土)라고도 하는데 오랫동안 먹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5장이 상하고 여윌 수 있기 때문이다[본초]. 이것이 바로 요즘 화가들이 쓰는 백토(白土)이다. 불에 태워 가루내서 소금 끓인 물에 수비하여[鹽湯飛]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600 [탕액편] 절지(竊脂) 6679
599 [가] 과루근(瓜蔞根,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5948
598 [가] 계지(桂枝) 계피(桂皮) 계심(桂心) 5942
597 [가] 괴화(槐花, 홰나무꽃) 4497
596 [가]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3173
595 [가] 고삼(苦蔘, 너삼) 3152
594 [가] 갈근(葛根, 칡뿌리) 2834
593 [가] 귤피(橘皮, 귤껍질) 진피(陳皮, 귤껍질) 2682
592 [가] 구기자(枸杞子) 2604
591 [아] 유백피(楡白皮, 느릅나무껍질) 2581
590 [자]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2529
589 [하] 황금(黃芩, 속썩은풀) 2468
588 [탕액편]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2406
587 [가] 강활(羌活, 강호리) 2360
586 [가] 강황(薑黃)+ 2352
585 [탕액편] 12제(十二劑) 2323
584 [차] 치자(梔子, 산치자) 2165
583 [바] 복령(茯苓 , 솔풍령) 2159
582 [탕액편] 7방(七方) 2126
581 [가] 길경(桔梗, 도라지)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