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백초상(百草霜)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742 추천 수 0
◈ 百草霜 ○ 오란브억어귀옛검?영無毒治熱毒消積化滯止暴瀉痢婦人月候不調崩中漏下橫生逆産胞衣不下[本草] ○ 局方誤以?墨爲百草霜惟黑奴丸兩用之此?額上墨又名??墨 ○ 深村久?額上墨佳止血爲最要[入門]

☞ 백초상(百草霜)

○ 독은 없다. 열독(熱毒)을 치료하며 적을 삭히고[消積] 체한 것을 풀며[化滯] 갑자기 생긴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한다. 부인의 월경이 고르지 않은 것, 붕루[崩中], 누하(漏下), 횡산[橫生], 역산(逆産), 태반[胞衣]이 나오지 않은 것도 치료한다[본초]. ○ 『국방(局方)』에는 가마 밑의 검댕이를 백초상이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잘못 쓴 것이다. 오직 흑노환(黑奴丸)에만 이 2가지가 다 들어있다. 이것은 아궁이 마돌에 붙은 검댕이를 말하는데 조돌묵이라고도 한다. ○ 두메산골에 있는 오랜 아궁이 마돌의 검댕이가 좋다. 이것이 피를 멎게 하는 데는 제일 좋은 것이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백초상(百草霜)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00 [탕액편] 역류수(逆流水) 445
399 [탕액편] 임금(林檎, 능금) 446
398 [탕액편] 백합(白?, 흰 비둘기) 447
397 [탕액편] 서각(犀角) 447
396 [탕액편]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48
395 [탕액편] 백마경(白馬莖) 448
394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
393 [탕액편]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450
392 [탕액편] 어회(魚膾, 물고기회) 450
391 [탕액편] 대매(?瑁, 대모) 451
390 [탕액편]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1
389 [탕액편] 오사(烏蛇) 453
388 [탕액편] 온천물[溫泉] 454
387 [탕액편]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54
386 [탕액편] 난발(亂髮) 454
385 [탕액편] 발피(髮?, 달비) 454
384 [탕액편] 궤육(?肉, 효근노루) 455
383 [탕액편]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458
382 [탕액편]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459
381 [탕액편]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