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갱미(粳米, 멥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695 추천 수 0
◈ 粳米 ○ 됴?니?性平味甘苦無毒平胃氣長肌肉溫中止痢益氣除煩[本草] ○ 粳硬也堅硬於?米也入手太陰少陰經氣精皆從米變化而生故字皆從米[入門] ○ 作飯及粥食之稍生則不益脾過熟則佳[本草] ○ 白晩米爲第一早熟米不及也[本草] ○ 卽晩米也霜後收者佳[日用]

☞ 갱미(粳米, 멥쌀)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살찌게 하며 속을 덥히고 이질을 멎게 하는데 기를 보하고 답답한 것[煩]을 없앤다[본초]. ○ 멥쌀이라는 '갱(粳)'자에는 굳다는 뜻(硬, 즉 堅)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찹쌀보다 굳기 때문이다. 이것의 기운은 수태음경과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기(氣)와 정(精)은 다 쌀을 먹어서 그것이 변화되어 생긴 것이기 때문에 '기(氣)'자와 '정(精)'자에는 다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입문]. ○ 밥이나 죽을 만들어 먹는데 약간 설익어도 비장(脾臟)에 좋지 못하다. 잘 익혀 먹어야 좋다[본초]. ○ 멥쌀은 늦벼쌀(白晩米)이 제일 좋다. 올벼쌀(早熟米)은 이것만 못하다[본초]. ○ 이것은 바로 늦벼쌀을 말하는데 서리가 온 뒤에 거둔 것이 좋다[일용].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00 [탕액편] 역류수(逆流水) 445
399 [탕액편] 임금(林檎, 능금) 446
398 [탕액편] 백합(白?, 흰 비둘기) 447
397 [탕액편] 서각(犀角) 447
396 [탕액편]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48
395 [탕액편] 백마경(白馬莖) 448
394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
393 [탕액편]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450
392 [탕액편] 어회(魚膾, 물고기회) 450
391 [탕액편] 대매(?瑁, 대모) 451
390 [탕액편]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1
389 [탕액편] 오사(烏蛇) 453
388 [탕액편] 온천물[溫泉] 454
387 [탕액편]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54
386 [탕액편] 난발(亂髮) 454
385 [탕액편] 발피(髮?, 달비) 454
384 [탕액편] 궤육(?肉, 효근노루) 455
383 [탕액편]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458
382 [탕액편]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459
381 [탕액편]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