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직미(稷米, 피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95 추천 수 0
◈ 稷米 ○ 피?性冷味甘無毒治熱益氣補不足[本草] ○ 多食發冷氣入穀之中最爲下八穀者黍稷稻粱禾麻菽麥也禾是粟苗麻是胡麻菽是大豆麥有大小?麥此諸穀之限也[本草] ○ 稷乃?之異名也稷亦穀之類似黍而小卽今之?米又謂之?爲五穀之長[入門] ○ 稷米堪爲飯不粘着其味淡今謂之?米[本草]

☞ 직미(稷米, 피쌀)

○ 성질이 차고[冷]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열을 치료하는데 기를 돕고 부족한 것을 보한다[본초]. ○ 많이 먹으면 찬 기운[冷氣]이 생긴다. 8가지 곡식 가운데서 제일 좋지 못한 것이다. 8가지 곡식이란 기장(黍), 피(稷), 벼(稻), 양미(粱), 조(禾), 참깨(麻), 콩(菽), 보리(麥)를 말한다. 여기서 조는 조싹(粟苗)을 말하는 것이고 참깨는 검정참깨(胡麻)를 말하는 것이고 콩은 흰콩(大豆)을 말하는 것이고 맥은 보리쌀(大麥), 밀(小麥), 겉보리(?麥)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곡식의 전부이다[본초]. ○ 피(稷)는 채(?)의 딴 이름이다. 피도 역시 곡식의 한 가지인데 기장 비슷하면서 알이 잘다. 요즘은 검정 피쌀을 자(?)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5곡 가운데서 상품이다[입문]. ○ 피쌀(稷米)로도 밥을 지을 수 있으나 찰지지 못하고 맛이 슴슴하다[淡]. 이것은 요즘 검정 피쌀(?米)이라고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40 [탕액편] 백초회(百草灰, 100가지 풀을 태운 재) 566
339 [탕액편]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61
338 [탕액편] 인중백(人中白) 561
337 [탕액편] 노어(?魚, 농어) 561
336 [탕액편] 치두(?頭, 소리개대가리) 560
335 [탕액편] 상시회(桑柴灰, 뽕나무 재) 558
334 [탕액편] 여어(?魚, 가물치) 558
333 [탕액편] 산사자(山?子, 찔광이) 558
332 [탕액편] 연작(練鵲, 대까치) 557
331 [탕액편] 이당(飴糖, 엿) 555
330 [탕액편]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553
329 [탕액편] 대맥(大麥, 보리) 551
328 [탕액편] 부인월수(婦人月水, 월경수) 551
327 [탕액편] 청어(靑魚) 551
326 [탕액편] 야압육(野鴨肉, 들오리고기) 549
325 [탕액편] 영양각(羚羊角) 549
324 [탕액편] 방합(蚌蛤, 진주조개) 549
323 [탕액편] 열탕(熱湯, 뜨겁게 끓인 물을 말한다.) 548
322 [탕액편] 동벽토(東壁土, 동쪽벽의 흙) 547
321 [탕액편] 오웅계육(烏雄鷄肉, 검은 수탉의 고기)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