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영양각(羚羊角)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549 추천 수 0
◈ 羚羊角 ○ 산양의?治中風筋攣熱毒風攻注中惡風昏亂不省安心氣定驚悸常不?寐明目?蠱毒惡鬼不祥治熱毒痢及血痢[本草] ○ 角甚多節蹙蹙圓繞細如人指長四五寸蹙文細者爲堪用採無時[本草] ○ 羚羊夜宿以角掛木不着地但取角彎中深銳緊小猶有掛痕者是眞也[本草] ○ 羚羊角行厥陰經藥也入厥陰甚捷能淸肝[丹心] ○ 眞角耳邊聽之集集鳴者良[本草]

☞ 영양각(羚羊角)

○ 중풍으로 힘줄이 오그라드는 것[中風筋攣], 열독풍(熱毒風)이 치미는 것과 중악으로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는데 마음을 안정시키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驚悸]을 멎게 한다. 그리고 언제나 가위에 눌리지 않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고독(蠱毒)과 악귀(惡鬼)를 없애고 열독리(熱毒痢)와 혈리(血痢)를 낫게 한다[본초]. ○ 이 뿔은 마디가 많고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많으며 사람 손가락만큼 가늘고 길이는 4-5치 정도 된다.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가는 것일수록 좋은데 아무 때나 잘라서 쓴다[본초]. ○ 영양은 밤에 잘 때 뿔을 나뭇가지에 걸고 땅에 닿지 않게 하고 잔다. 뿔굽 가운데가 깊이 패이고 예리하며 딴딴하고 가늘며 걸었던 자리가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영양각은 궐음경(厥陰經)의 약이다. 궐음경으로 들어가는 기운이 아주 빠른데 간기(肝氣)를 좋게 한다[단심]. ○ 진짜 뿔은 귀에 대고 있으면 '윙윙' 소리가 나는데 이런 것이라야 좋다[본초]. 

◈ 肉 ○ 肥軟益人兼主冷勞山嵐?痢又主蛇咬惡瘡[本草]
☞ 영양육(羚羊肉) ○ 살코기는 보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냉로(冷勞)와 산람장기로 학질이나 이질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또한 뱀한테 물린 것[蛇咬瘡]과 악창(惡瘡)을 낫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80 [탕액편] 양상진(梁上塵) 484
379 [탕액편]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505
378 [탕액편]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963
377 [탕액편] 청양(靑?, 검정참깨잎) 913
376 [탕액편]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849
375 [탕액편]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458
374 [탕액편]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46
373 [탕액편]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61
372 [탕액편] 마자(麻子, 삼씨) 493
371 [탕액편] 마분(麻?, 삼꽃가루) 411
370 [탕액편] 마엽(麻葉, 삼잎) 476
369 [탕액편] 마근(麻根, 삼뿌리) 395
368 [탕액편]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521
367 [탕액편]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05
366 [탕액편] 대두(大豆, 콩) 487
365 [탕액편] 여두(?豆, 쥐눈이콩) 651
364 [탕액편] 두황(豆黃, 콩가루) 478
363 [탕액편]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836
362 [탕액편]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785
361 [탕액편] 속미(粟米, 좁쌀)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