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영양각(羚羊角)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549 추천 수 0
◈ 羚羊角 ○ 산양의?治中風筋攣熱毒風攻注中惡風昏亂不省安心氣定驚悸常不?寐明目?蠱毒惡鬼不祥治熱毒痢及血痢[本草] ○ 角甚多節蹙蹙圓繞細如人指長四五寸蹙文細者爲堪用採無時[本草] ○ 羚羊夜宿以角掛木不着地但取角彎中深銳緊小猶有掛痕者是眞也[本草] ○ 羚羊角行厥陰經藥也入厥陰甚捷能淸肝[丹心] ○ 眞角耳邊聽之集集鳴者良[本草]

☞ 영양각(羚羊角)

○ 중풍으로 힘줄이 오그라드는 것[中風筋攣], 열독풍(熱毒風)이 치미는 것과 중악으로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는데 마음을 안정시키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驚悸]을 멎게 한다. 그리고 언제나 가위에 눌리지 않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고독(蠱毒)과 악귀(惡鬼)를 없애고 열독리(熱毒痢)와 혈리(血痢)를 낫게 한다[본초]. ○ 이 뿔은 마디가 많고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많으며 사람 손가락만큼 가늘고 길이는 4-5치 정도 된다. 쭈굴쭈굴한 테두리가 가는 것일수록 좋은데 아무 때나 잘라서 쓴다[본초]. ○ 영양은 밤에 잘 때 뿔을 나뭇가지에 걸고 땅에 닿지 않게 하고 잔다. 뿔굽 가운데가 깊이 패이고 예리하며 딴딴하고 가늘며 걸었던 자리가 있는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영양각은 궐음경(厥陰經)의 약이다. 궐음경으로 들어가는 기운이 아주 빠른데 간기(肝氣)를 좋게 한다[단심]. ○ 진짜 뿔은 귀에 대고 있으면 '윙윙' 소리가 나는데 이런 것이라야 좋다[본초]. 

◈ 肉 ○ 肥軟益人兼主冷勞山嵐?痢又主蛇咬惡瘡[本草]
☞ 영양육(羚羊肉) ○ 살코기는 보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냉로(冷勞)와 산람장기로 학질이나 이질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또한 뱀한테 물린 것[蛇咬瘡]과 악창(惡瘡)을 낫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60 [탕액편]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569
259 [탕액편] 인곤당(人??, 속곳 밑부분) 569
258 [탕액편]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 569
257 [탕액편]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571
256 [탕액편] 연어(?魚) 576
255 [탕액편] 지장수(地漿, 누런 흙물을 말한다.) 577
254 [탕액편] 송어(松魚) 578
253 [탕액편] 회어(?魚, 민어) 579
252 [탕액편] 석류(石榴) 580
251 [탕액편]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586
250 [탕액편] 나미(?米, 찹쌀) 591
249 [탕액편] 진름미(陳?米, 묵은 쌀) 592
248 [탕액편] 작육(雀肉, 참새고기) 592
247 [탕액편] 노육(驢肉, 나귀고기) 594
246 [탕액편] 추어(鰍魚, 미꾸라지) 595
245 [탕액편] 공어(?魚, 가오리) 598
244 [탕액편] 팔초어(八梢魚, 문어) 599
243 [탕액편]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604
242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241 [탕액편] 점어(鮎魚, 메기)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