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즉어(?魚, 붕어)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677 추천 수 0
◈ ?魚 ○ 붕어性溫(一云平)味甘無毒平胃氣益五藏調中下氣止下痢合?作羹主胃弱不下食作膾主久赤白痢 ○ 一名?魚諸魚中最可食色黑而體促?大而脊隆池澤皆有之 ○ 一種背高腹狹小者名?魚力差劣[本草] ○ 諸魚皆屬火惟?魚屬土故能入陽明而有調胃實腸之功又云魚在水中無一息之停故能動火[入門]

☞ 즉어(?魚, 붕어) ○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은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5장을 보한다. 또한 중초를 고르게 하고 기를 내리며 이질을 낫게 한다. 순채(蓴)와 같이 국을 끓여서 먹으면 위가 약해서 소화가 잘 되지 않던 것이 낫게 된다. 회를 쳐서 먹으면 오래된 적백이질이 낫는다. ○ 일명 부어(?魚)라고도 하는데 여러 가지 물고기 가운데서 제일 먹을 만한 고기이다. 빛이 검으면서 몸통은 좁고[促] 배가 크며 등이 두드러졌는데 못에는 다 있다. ○ 다른 한 종류는 등이 높고 배가 좁은 것도 있는데 이것을 절어(?魚)라고 한다. 약 효과는 붕어보다 못하다[본초]. ○ 모든 물고기는 다 화(火)에 속하지만 붕어만은 토(土)에 속하기 때문에 양명경(陽明經)으로 들어가서 위기를 고르게 하고 장위를 든든하게 한다. 그리고 물고기는 물 속에서 잠시 동안도 멈춰 있지 않기 때문에 화를 동하게 하는 것이다[입문]. 

◈ 頭 ○ 性溫主小兒頭瘡口瘡重舌目?燒灰用[本草]

☞ 즉두(?頭) ○ 성질이 따뜻하다[溫]. 어린이의 머리와 입에 헌데가 생긴 데와 중설(重舌), 눈에 예막이 생긴 데 태워서 가루내어 쓴다[본초]. 

◈ 膽 ○ 主小兒腦瘡取汁滴入鼻中[本草]

☞ 즉담(?膽) ○ 어린이의 뇌창(腦瘡) 때 담즙을 코 안에 조금씩 넣어 준다[본초]. 

◈ 子 ○ 調中益肝氣凡魚生子皆粘着草上及土中經冬月至六月三伏時雨中便化爲魚[本草]
☞ 즉자(?子) ○ 중초를 고르게 하고 간을 보한다. 물고기가 낳은 알은 풀 위나 흙에 붙어서 겨울을 나고 음력 6월 삼복철 비가 올 때에 알을깨고 나와 물고기가 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00 [탕액편] 취탕(炊湯, 숭늉) 398
399 [탕액편] 육천기(六天氣) 420
398 [탕액편] 약으로 쓰는 흙[土部] 436
397 [탕액편]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438
396 [탕액편] 동벽토(東壁土, 동쪽벽의 흙) 547
395 [탕액편] 서벽토(西壁土, 서쪽벽의 흙) 439
394 [탕액편]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639
393 [탕액편] 적토(赤土) 432
392 [탕액편] 백악(白惡, 백토) 468
391 [탕액편] 해금사(海金沙, 실고사리알 씨) 525
390 [탕액편]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54
389 [탕액편] 6월하중열사(六月河中熱沙, 6월에 강가에 있는 뜨거워진 모래) 534
388 [탕액편] 도중열진토 411
387 [탕액편] 토봉과상토(土蜂?上土, 땅벌집 위의 흙) 673
386 [탕액편] 단철조중회 376
385 [탕액편] 동회(冬灰, 명아주 태운 재) 483
384 [탕액편] 상시회(桑柴灰, 뽕나무 재) 558
383 [탕액편] 백초회(百草灰, 100가지 풀을 태운 재) 566
382 [탕액편] 백초상(百草霜) 742
381 [탕액편] 당묵(?墨, 가마밑 검댕)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