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즉어(?魚, 붕어)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677 추천 수 0
◈ ?魚 ○ 붕어性溫(一云平)味甘無毒平胃氣益五藏調中下氣止下痢合?作羹主胃弱不下食作膾主久赤白痢 ○ 一名?魚諸魚中最可食色黑而體促?大而脊隆池澤皆有之 ○ 一種背高腹狹小者名?魚力差劣[本草] ○ 諸魚皆屬火惟?魚屬土故能入陽明而有調胃實腸之功又云魚在水中無一息之停故能動火[入門]

☞ 즉어(?魚, 붕어) ○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은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5장을 보한다. 또한 중초를 고르게 하고 기를 내리며 이질을 낫게 한다. 순채(蓴)와 같이 국을 끓여서 먹으면 위가 약해서 소화가 잘 되지 않던 것이 낫게 된다. 회를 쳐서 먹으면 오래된 적백이질이 낫는다. ○ 일명 부어(?魚)라고도 하는데 여러 가지 물고기 가운데서 제일 먹을 만한 고기이다. 빛이 검으면서 몸통은 좁고[促] 배가 크며 등이 두드러졌는데 못에는 다 있다. ○ 다른 한 종류는 등이 높고 배가 좁은 것도 있는데 이것을 절어(?魚)라고 한다. 약 효과는 붕어보다 못하다[본초]. ○ 모든 물고기는 다 화(火)에 속하지만 붕어만은 토(土)에 속하기 때문에 양명경(陽明經)으로 들어가서 위기를 고르게 하고 장위를 든든하게 한다. 그리고 물고기는 물 속에서 잠시 동안도 멈춰 있지 않기 때문에 화를 동하게 하는 것이다[입문]. 

◈ 頭 ○ 性溫主小兒頭瘡口瘡重舌目?燒灰用[本草]

☞ 즉두(?頭) ○ 성질이 따뜻하다[溫]. 어린이의 머리와 입에 헌데가 생긴 데와 중설(重舌), 눈에 예막이 생긴 데 태워서 가루내어 쓴다[본초]. 

◈ 膽 ○ 主小兒腦瘡取汁滴入鼻中[本草]

☞ 즉담(?膽) ○ 어린이의 뇌창(腦瘡) 때 담즙을 코 안에 조금씩 넣어 준다[본초]. 

◈ 子 ○ 調中益肝氣凡魚生子皆粘着草上及土中經冬月至六月三伏時雨中便化爲魚[本草]
☞ 즉자(?子) ○ 중초를 고르게 하고 간을 보한다. 물고기가 낳은 알은 풀 위나 흙에 붙어서 겨울을 나고 음력 6월 삼복철 비가 올 때에 알을깨고 나와 물고기가 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20 [탕액편] 검인(芡仁, 가시연밥) 818
419 [탕액편]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07
418 [탕액편] 선어(?魚, 두렁허리) 803
417 [탕액편] 단육(?肉, 오소리고기) 795
416 [탕액편]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785
415 [탕액편] 교맥(蕎麥, 메밀) 780
414 [탕액편] 우유(牛乳) 778
413 [탕액편] 비목어(比目魚, 가자미) 771
412 [탕액편] 서미(黍米, 기장쌀) 760
411 [탕액편] 녹용(鹿茸) 758
410 [탕액편] 천령개(天靈盖, 해골뼈) 756
409 [탕액편]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한다.) 743
408 [탕액편] 백초상(百草霜) 742
407 [탕액편] 인뇨(人尿, 오줌) 728
406 [탕액편] 계자(鷄子, 달걀) 728
405 [탕액편] 올눌제(??臍, 해구신) 724
404 [탕액편] 미후도(??桃, 다래) 723
403 [탕액편]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22
402 [탕액편] 궐어(?魚, 쏘가리) 714
401 [탕액편] 해돈(海?, 곱등어) 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