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제조(??, 굼벵이)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629 추천 수 0
◈ ?? ○ 굼벙이性微寒味?有毒主惡血血瘀痺氣目中淫膚靑?白膜及破骨?折金瘡內塞下乳汁 ○ 生人家積糞草中取無時反行者良此?以背行反?於脚[本草] ○ 生桑柳樹中內外潔白者佳生糞中者止可敷瘡疽採取陰乾?米同炒米焦取出去口畔及身上黑塵了乃可用[入門] ○ 然不背行者非眞??也[俗方]

☞ 제조(??, 굼벵이)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짜며[?] 독이 있다. 악혈(惡血), 어혈[血瘀], 비기(痺氣), 눈의 군살, 청예(靑?), 백막(白膜) 및 뼈가 부스러졌거나 부러졌거나 삐인 것, 쇠붙이에 다쳐 속이 막힌 것을 치료하고 젖을 잘 나게 한다. ○ 집 근처의 두엄더미 속에서 산다. 아무 때나 잡아도 좋은데 뒤집어져서 다니는 것이 좋다. 이 벌레는 등으로 다니는 것이 다리로 다니는 것보다 더 빠르다[본초]. ○ 뽕나무나 버드나무 속에서 사는데 겉과 속이 흰 것이 좋다. 두엄더미 속에 있는 것은 창저(瘡疽)에만 바를 수 있다. 잡아 그늘에서 말린 다음 찹쌀(?米)과 함께 넣고 쌀이 누렇게 되도록 볶아 꺼내서 입이나 몸뚱이에 있는 검은 티를 버리고 쓴다[입문]. ○ 등으로 다니지 않는 것은 좋은 굼벵이가 아니다[속방].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600 [탕액편]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1390
599 [탕액편]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1329
598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597 [탕액편]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1041
596 [탕액편]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1027
595 [탕액편] 오랫동안 둬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1236
594 [탕액편]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1032
593 [가] 갈근(葛根, 칡뿌리) 2834
592 [가]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3173
591 [가] 강활(羌活, 강호리) 2360
590 [가] 강황(薑黃)+ 2352
589 [가] 계지(桂枝) 계피(桂皮) 계심(桂心) 5941
588 [가] 고본(藁本) 1926
587 [가] 고삼(苦蔘, 너삼) 3152
586 [가] 과루근(瓜蔞根,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5948
585 [가] 곽향(藿香) 2098
584 [가] 구기자(枸杞子) 2604
583 [가] 귤피(橘皮, 귤껍질) 진피(陳皮, 귤껍질) 2682
582 [가] 길경(桔梗, 도라지) 2109
581 [나] 나복자(蘿?子, 무씨)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