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원잠아(原蠶蛾, 누에나비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647 추천 수 0
◈ 原蠶蛾 ○ 도나기누에나?性溫(一云熱)味?有小毒壯陽事止泄精尿血煖水藏益精氣强陰道令交接不倦 ○ 是重養?俗呼爲晩?取蛾去翅足微炒用 ○ 原再也是第二番?以其敏於生育也?蛾?砂?退?紙皆取第二番者佳 ○ 原?蛾有原復敏速之義[本草]

☞ 원잠아(原蠶蛾, 누에나비) ○ 성질이 따뜻하고[溫](뜨겁다[熱]고도 한다) 맛이 짜며[?] 독이 약간 있다. 남자의 성욕을 세지게 하고 유정과 몽설, 피오줌을 누는 것을 치료하며 신을 덥게 하고 정기를 보하며 발기를 세게 하여 성생활을 잘 하게 한다. ○ 이것은 되내기누에(重養蠶)를 말하는데 민간에서는 늦누에(晩蠶)라고 한다. 나비의 날개와 발을 버리고 약간 볶아서[微炒] 쓴다. ○ 되내기라고 하는 것은 2벌누에(第二番蠶)라는 말인데 이것은 나서 빨리 자란다는 것이다. 누에나비(蠶蛾)나 누에똥(蠶砂), 누에알깐껍질(蠶退), 누에알깐종이(蠶紙)는 다 2벌누에의 것을 쓴다. ○ 되내기누에나비(原蠶蛾)는 나서 빨리 자라기 때문에 쓸모가 있다[본초]. 

◈ 蠶砂 ○ ?屎一名?砂性溫無毒治風痺不仁腸鳴 ○ 一名馬鳴肝淨收取?乾炒黃色用五月收者良 ○ 或酒浸服或炒熱?病處[本草]

☞ 잠사(蠶砂) ○ 누에똥(蠶屎)을 잠사라고 한다. 성질을 따뜻하고[溫] 독이 없다. 풍비(風痺)로 몸을 잘 쓰지 못하는 것과 배가 끓는 것을 치료한다. ○ 일명 마명간(馬鳴肝)이라고도 하는데 깨끗하게 받아서[收取] 햇볕에 말린 다음 누렇게 되도록 볶아[炒] 쓴다. 음력 5월에 받아서 쓰는 것이 좋다. ○ 술에 담갔다가 그 술을 마신 다음 잠사를 뜨겁게 볶아 아픈 곳에 찜질하기도 한다[본초]. 

◈ ?布紙 ○ 性平治血風益婦人一名馬鳴退亦謂之?連治婦人血露婦人藥多用之 ○ 是初出?殼在紙上者亦名?退入藥當微炒[本草]

☞ 잠포지(蠶布紙) ○ 성질이 평(平)하다. 혈풍(血風)을 치료하는데 부인인 환자에게 좋다. 일명 마명퇴(馬鳴退) 또는 잠련(蠶連)이라고도 하는데 부인의 혈로(血露)를 치료한다. 부인들에게 쓰는 약에 많이 넣는다. ○ 이것은 누에가 갓 까나간 누에알껍질이 붙어 있는 종이를 말한다. 또는 잠퇴(蠶退)라고도 하는데 약에 넣을 때에는 약간 볶아서 쓴다[본초]. 

◈ 新綿 ○ 燒灰主五痔下血 ○ 弓弩弦主難産胞衣不出燒灰飮服[本草]

☞ 신면(新綿) ○ 태운 재는 5가지 치질과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 활줄은 난산이나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태워 가루내서 미음에 타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160 [탕액편] 참대기름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1123
159 [탕액편] 환육(?肉, 너구리고기) 1124
158 [탕액편]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1129
157 [탕액편] 찐지황을 만드는 방법[作熟地黃法] 1139
156 [탕액편]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1144
155 [탕액편]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1150
154 [탕액편] 상반약(相反藥) 1161
153 [탕액편]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1164
152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151 [타] 택사(澤瀉) 1175
150 [아] 울금(鬱金) 1179
149 [탕액편]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1192
148 [마] 만형자(蔓荊子, 순비기열매)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1198
147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146 [사] 사향(麝香) 1206
145 [아]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1211
144 [아] 애엽(艾葉, 약쑥잎) 1217
143 [아] 아교(阿膠) 1217
142 [타] 통초(通草)으름덩굴 1218
141 [하] 현호색(玄胡索) 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