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오사(烏蛇)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453 추천 수 0
◈ 烏蛇 ○ 거믄?얌性平味甘有小毒(一云無毒)主大風疥癩眉?脫落皮膚頑痺生瘡治熱毒風及一切諸風?疹疥癬 ○ 背有三稜色黑如漆性善不?物頭上有@毛至枯死而眼不陷如活者秤之重七錢半至一兩上爲上用之入神#大者轉重力彌減 ○ 尾細長能穿小銅錢一百文者佳此蛇脊高世謂之劒脊烏蛇多在蘆叢中嗅其花氣亦乘南風吸最難採捕酒浸去皮骨取肉焙乾用[本草] ○ 我國黃海道豊川海中椒島有之常在椒樹上吸其氣然最難得[俗方]

☞ 오사(烏蛇)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약간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문둥병으로 눈썹이 빠진 것과 피부에 감각이 없는 것, 헌데가 생긴 것, 열독풍(熱毒風), 모든 풍증, 두드러기, 옴, 버짐을 치료한다. ○ 잔등은 세모가 나고 옻같이 검은데 성질이 순하여 사람을 잘 물지 않는다. 대가리에는 거꾸로 나온 털이 있고 말라 죽어도 눈을 감지 않기 때문에 살아 있는 것 같다. 무게가 30-40g 되는 것이 제일 좋다. 지나치게 큰 것은 약 효과가 적다. ○ 꼬리가 가늘고 길어서 작은 동전 백닢을 꿸 만한 것이 좋다. 이 뱀은 등골뼈가 높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검척오사(劒脊烏蛇)라고 한다. 흔히 갈밭에서 살면서 갈꽃의 향기를 맡으며 남풍을 들여마시는데 잡기가 매우 힘들다. 술에 담갔다가 껍질과 뼈를 버리고 살만 발라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본초]. ○ 황해남도의 풍천과 초도 등에서 난다. 늘 조피나무 위에서 살면서 그 향기를 마시는데 잡기가 아주 힘들다[속방].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60 [하] 현호색(玄胡索) 1222
459 [타] 통초(通草)으름덩굴 1218
458 [아] 애엽(艾葉, 약쑥잎) 1217
457 [아] 아교(阿膠) 1217
456 [아]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1211
455 [사] 사향(麝香) 1206
454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453 [마] 만형자(蔓荊子, 순비기열매)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1198
452 [탕액편]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1192
451 [아] 울금(鬱金) 1179
450 [타] 택사(澤瀉) 1175
449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448 [탕액편]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1164
447 [탕액편] 상반약(相反藥) 1161
446 [탕액편]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1150
445 [탕액편]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1144
444 [탕액편] 찐지황을 만드는 방법[作熟地黃法] 1139
443 [탕액편]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1129
442 [탕액편] 환육(?肉, 너구리고기) 1124
441 [탕액편] 참대기름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