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479 추천 수 0
◈ 靑橘皮 ○ 프른귤性溫味苦無毒主氣滯下食破積結及膈氣[本草] ○ 形小而色靑故一名靑皮足厥陰引經藥又入手少陽經氣短者禁用消積定痛醋炒[入門] ○ 陳皮味辛理上氣靑皮味苦理下氣二味俱用散三焦氣也宜去白用[易老] ○ 今之靑橘似黃橘而小別是一種耳收之去肉暴乾[本草] ○ 靑皮乃肝膽二經之藥人多怒脇下有鬱積最效[正傳]

☞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기가 막힌 것을 치료하고 소화가 잘 되게 하며 적(積)이 뭉친 것과 가슴에 기가 막힌 것을 헤친다[본초]. ○ 생김새가 작고 푸르기 때문에 청피(靑皮)라고 한다. 이것은 족궐음경(足厥陰經)의 인경약(引經藥)이며 또는 수소양경(手少陽經)의 약이다. 숨결이 고르지않은[短]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 적을 삭히고 아픈 것을 멎게 하려면 식초로 축여 볶아서 쓴다[입문]. ○ 귤껍질(진피(陳皮))은 맛이 맵기 때문에 상초의 기를 고르게 하고 선귤껍질은 맛이 쓰기 때문에 하초의 기를 고르게 한다. 선귤껍질과 귤껍질을 함께 쓰면 3초의 기를 헤친다. 이때는 흰 속을 버리고 쓴다[역로]. ○ 지금의 청귤은 황귤(黃橘)과 비슷하면서도 작은 것이 다른데 이것은 딴 종류일 것이다. 그것을 따서 속살은 버리고 볕에 말린다[본초]. ○ 선귤껍질은 간과 담 두 경락의 약이다. 사람이 자주 노해서 옆구리에 울적(鬱積)이 생긴 데 쓰면 아주 좋다[정전]. 


◈ 葉 ○ 導胸中逆氣行肝氣乳腫及脇癰用之[入門]

☞ 청귤엽(靑橘葉, 귤잎) ○ 가슴으로 치미는 기를 내려가게 하고 간기를 잘 돌게 하는데 젖이 붓는 것과 협옹(脇癰) 때에 쓴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60 [탕액편]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569
259 [탕액편] 인곤당(人??, 속곳 밑부분) 569
258 [탕액편]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 569
257 [탕액편]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571
256 [탕액편] 연어(?魚) 576
255 [탕액편] 지장수(地漿, 누런 흙물을 말한다.) 577
254 [탕액편] 송어(松魚) 578
253 [탕액편] 회어(?魚, 민어) 579
252 [탕액편] 석류(石榴) 580
251 [탕액편]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586
250 [탕액편] 나미(?米, 찹쌀) 591
249 [탕액편] 진름미(陳?米, 묵은 쌀) 592
248 [탕액편] 작육(雀肉, 참새고기) 592
247 [탕액편] 노육(驢肉, 나귀고기) 594
246 [탕액편] 추어(鰍魚, 미꾸라지) 595
245 [탕액편] 공어(?魚, 가오리) 598
244 [탕액편] 팔초어(八梢魚, 문어) 599
243 [탕액편]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604
242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241 [탕액편] 점어(鮎魚, 메기)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