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여지(?枝, 예지)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364 추천 수 0
◈ ?枝 ○ 性平(一云微溫)味甘(一云甘酸)無毒通神益智止煩渴好顔色 ○ 生川蜀雲南子如鷄卵大殼朱如紅羅文肉靑白如水晶甘美如蜜又云核如蓮子肉白如肪脂甘而多汁 ○ 多食則發熱飮蜜漿解之 ○ 結實時枝弱而?牢不可摘取以刀斧?取其枝故以爲名耳[本草]

☞ 여지(?枝, 예지) ○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따뜻하다[微溫]고도 한다) 맛은 달며[甘](달면서 시다[甘酸]고도 한다) 독이 없다. 정신을 깨끗하게 하고 지혜를 도우며 번갈을 멎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한다. ○ 사천 운남 지방에서 나며 과실은 달걀만하고 껍질에는 붉은 항라의 무늬 같은 것이 있고 살은 푸르고 흰 것이 수정 같으며 맛이 꿀맛 같다. 또한 씨는 연밥(蓮子肉) 같으며 비계같이 희고 달면서 즙이 많다. ○ 많이 먹으면 열이 난다. 꿀물을 마시면 풀린다. ○ 과실이 열렸을 때의 가지는 약하고 꼭지는 단단하여 딸 수 없기 때문에 칼이나 도끼로 그 가지를 찍는다. 때문에 칼로 찌를 '예'자와 가지 '지(枝)'자를 붙여서 예지라고 이름을 지은 것이다[입문]. 

◈ 核 ○ 治心痛及小腸疝氣燒爲末溫酒調下[入門]

☞ 여지핵(?枝核, 예지씨) ○ 가슴앓이[心痛]와 소장산기(小腸疝氣)를 치료하는데 태워 가루낸 다음 따뜻한 술에 타 먹는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00 [아] 용골(龍骨) 1369
499 [아]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1364
498 [하]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화 1355
497 [탕액편]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1329
496 [사] 산수유(山茱萸) 1327
495 [마] 목향(木香) 1326
494 [차] 천남성(天南星) 1324
493 [사] 석창포(菖蒲, 석창포) 1321
492 [자] 전호(前胡) 1317
491 [사] 삼릉(三稜) 1316
490 [사] 사삼(沙參, 더덕) 1313
489 [아] 오수유(吳茱萸) 1313
488 [아]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1313
487 [다]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인 1308
486 [하] 회향(茴香) 1307
485 [아] 인삼(人蔘) 1303
484 [아] 웅담(熊膽) 1303
483 [자] 죽력(竹瀝, 참대기름) 1301
482 [사] 시호(柴胡) 1300
481 [사] 속단(續斷) 1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