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한닥터 2015.03.05 조회 수 74 추천 수 0

사과(絲瓜, 수세미)


성질이 찬데[寒] 독을 푼다. 모든 악창과 어린이의 마마[痘疹], 유저(乳疽), 정창(丁瘡), 각옹(脚癰)을 치료한다.

○ 서리가 내린 뒤에 늙은 수세미오이를 껍질, 뿌리, 씨까지 온전한 것으로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어 4-12g을 꿀물에 타 먹으면 헌데가 삭으면서 독이 헤쳐져 속으로 들어가지 못한다[입문].

○ 일명 천라(天蘿)라고도 하고 천락사(天絡絲)라고도 한다. 이것의 잎을 보고는 우자엽(虞刺葉)이라고 한다[정전].

○ 어린것은 삶아 익혀서 생강과 식초로 양념하여 먹고 마른 것은 껍질과 씨를 버리고 그 속으로 그릇을 씻는다[식물].

○ 중국에서 씨를 가져다가 심은 것인데 생김새는 오이 같으나 매우 길고 크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비장(脾臟)] 단방(單方)/비장 958
[비장(脾臟)] 비장에 대한 비장도인법[脾臟導引法] 859
[비장(脾臟)] 비장을 수양하는 법[脾臟修養法] 856
[비장(脾臟)] 비기가 끊어진 증후[脾絶候] 788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907
[비장(脾臟)] 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脾病間甚] 846
[비장(脾臟)] 비병의 허증과 실증[脾病虛實] 1228
[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1444
[비장(脾臟)] 비가 상한 증상[脾傷證] 1072
[비장(脾臟)] 비장이 크고 작은 것[脾臟大小] 957
[비장(脾臟)] 비에 속한 것들[脾屬物類] 807
[비장(脾臟)] 비가 주관하는 날짜[脾主時日] 717
[비장(脾臟)] 비장의 위치[脾部位] 1140
[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865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심장(心臟)] 심장에 대한 도인법[心臟導引法] 815
[심장(心臟)] 심장을 수양하는 법[心臟修養法] 809
[심장(心臟)] 심기가 끊어진 증후[心絶候] 718
[심장(心臟)]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1589
[심장(心臟)] 수소음은 수혈이 없다[手少陰無輸] 701
[심장(心臟)]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822
[심장(心臟)]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1703
[심장(心臟)] 심병의 증상[心病證] 1343
[심장(心臟)] 심이 상한 증상[心傷證] 906
[심장(心臟)]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2094
[심장(心臟)] 심에 속한 것들[心屬物類] 757
[심장(心臟)] 심이 주관하는 날짜[心主時日] 608
[심장(心臟)] 심장의 위치[心部位]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