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축사(縮砂蜜, 사인)

한닥터 2015.03.07 조회 수 143 추천 수 0

축사(縮砂蜜, 사인)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모든 기병[氣]과 명치 아래와 배가 아프며 음식에 체하여 소화되지 않는 것과 설사와 적백이질을 낫게 한다. 비위(脾胃)를 덥게[煖] 하며 태동[胎]으로 통증을 멈추고 곽란을 낫게 한다.

○ 모양은 백두구와 비슷한데 약간 검은 것은 익지인과 비슷하다. 음력 7-8월에 받는다[본초].

○ 백두구를 사약(使藥)으로 쓰면 폐(肺)에 들어가고 인삼, 익지인을 사약으로 쓰면 비(脾)에 들어간다. 황백과 흰솔풍령(茯 )을 사약으로 쓰면 신(腎)에 들어가고 적석지와 백석지[赤白石脂]를 사약으로 쓰면 대장과 소장에 들어간다[탕액].

○ 또한 사인(砂仁)이라고도 한다. 수족태음경과 양명경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약한 불에 고소하게 닦아 손으로 비벼 껍질을 버리고 속씨만 받아 짓찧어서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백두구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사인(砂仁) by 한닥터
  3. 본초정리 축사밀(縮砂蜜, 사인) 축사(縮砂, 사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내장(內障) 1515
[혈(血)] 피오줌[尿血] 1487
[눈(眼)] 투침(偸鍼) 1 1424
[목소리(聲音)] 목 쉰 소리[聲嘶] 1222
[입과 혀(口舌)] 혓바늘이 돋는 것[舌生芒刺] 1207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73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곡식(穀部)] 소맥(小麥, ) 851
[언어(言語)] 몹시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大驚不語] 730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소아(小兒)] 변비(便秘) 648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곡식(穀部)] 면(麵, 가루) 한식면(寒食麵) 592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싹) 518
[곡식(穀部)] 부소맥(浮小麥, 쭉정이) 477
[곡식(穀部)] 부(?, 기울) 423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깜부기) 392
[나무[木部]] 몽화(密蒙花) 145
[풀(草部)] 축사(縮砂蜜, 사인) 143
[돌[石部]] 타승(密陀僧)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