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자(附子)

한닥터 2015.03.07 조회 수 139 추천 수 0

(附子)


성질은 몹시 열하고[大熱] 맛은 매우며 달고[辛甘] 독이 많다. 3초를 보하고 궐역(厥逆)과 6(府)에 있는 한랭과 한습으로 위벽증( 證)이 생긴 것을 낫게 한다. 유산시키는 데는 모든 약 가운데서 가장 좋다.

○ 오두(烏頭), 오훼(烏喙), 천웅(天雄), 자(附子), 측자(側子)가 다 한 가지 식물이다. 모양이 까마귀 대가리 같은 것을 오두라 하고 두가닥진 것은 오훼라 한다. 가늘고 길이가 3-4치 되는 것을 천웅이라 하며 뿌리겉에 토란과 같이 붙어 있는 것을 부자라 한다. 겉에 연달아 난 것을 측자라고 한다. 이 5가지 약은 같은 데 생기는데 이름만 다르다[본초].

자가 작은 것은 약 힘이 약하고 큰 것은 성질이 사납고 20g쯤 되는 것이 좋다[단심].

○ 옛날 의학책에는 큰 자로서 무게가 40g인 것을 쓰면 그 힘이 크다고 하였다. 대개 쓸 때에는 반드시 싸서 터지도록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리고 쓴다[단심].

○ 쓸 때에 동변에 담갔다가 달여셔 쓰면 내려가는 힘이 좋아진다.

○ 본래 수소양명문(手少陽命門)과 3초의 약이다. 모든 경맥을 다 돌기 때문에 높은 데나 중간이나 낮은 데나 가지 못하는 곳이 없다[입문].

○ 감초, 인삼, 생강을 배합하면 그 독이 없어진다[입문].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부자(附子,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부자(附子,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천웅(天雄)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오두(烏頭) by 한닥터
  5. 약재 정보 부자(附子) by 한닥터
  6. 본초정리 부자(附子)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신형장도 身形藏府圖 2 4479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부인(婦人)] 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풀(草部)] 권백(卷栢, 처손) 567
[풀(草部)] 포황(蒲黃, 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풀(草部)] 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눈(眼)] 예(浮翳) 300
[눈(眼)] 옥예만(玉瞖浮滿) 389
[가슴(胸)] 궐심통(厥心痛) 81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525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49
[습(濕)] 중습(中濕) 1145
[습(濕)] 풍습(風濕) 1278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학질(?疾)] 한학(寒?) 843
[제창(諸瘡)] 천포창(天疱瘡) 1406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60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소아(小兒)] 만비풍(慢脾風) 701
[채소(菜部)] 구채자( ?菜子, 추씨) 146
[풀(草部)] 사초근(莎草根, 향자)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