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상산(常山)

한닥터 2015.03.07 조회 수 13 추천 수 0

상산(常山)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있다. 여러 가지 학질을 낫게 하고 담연을 토하게 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낫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즉 촉칠의 뿌리(蜀漆根)다. 음력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리는데 가늘고 단단하다. 누른 것을 계골상산( 骨常山)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가장 좋다[본초].

○ 성질은 사납고 날래어서[暴悍] 몰아내기는 잘하나 진기(眞氣)를 상할 수 있으므로 많이 쓰지 말아야 한다. 많이 쓰면 몹시 토한다[단심].

○ 생것을 쓰면 몹시 토하게 하므로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찌거나 혹은 볶거나 식초에 담갔다가 달여서 쓰면 트직한 것이 없어지면서 토하지 않는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촉칠(蜀漆)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금속[金部]] 자연동(自然銅, 산골) 125
[금속[金部]] 생철(生鐵, 무쇠) 62
[금속[金部]] 유철(柔鐵) 59
[금속[金部]] 강철(鋼鐵) 62
[금속[金部]] 철설(鐵屑, 쇠가루, 쇠똥) 79
[금속[金部]] 철액(鐵液) 61
[금속[金部]] 철화분(鐵華粉) 55
[금속[金部]] 철분(鐵粉) 70
[금속[金部]] 철설(鐵屑) 66
[금속[金部]] 침사(鍼砂) 71
[금속[金部]] 철정(鐵精) 54
[금속[金部]] 철장(鐵漿) 59
[금속[金部]] 마함철(馬啣鐵) 65
[금속[金部]] 차할철(車轄鐵) 59
[금속[金部]] 약시철(?匙鐵, 열쇠) 57
[금속[金部]] 고거철치(故鋸鐵齒, 오래된 톱날) 57
[금속[金部]] 철부(鐵斧, 쇠도끼) 57
[혈(血)]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것[舌?] 146
[진액(津液)] 누풍증(漏風證) 246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