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연교(連翹)

한닥터 2015.03.07 조회 수 37 추천 수 0

연교(連翹)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나력, 옹종, 악창, 영류( 瘤)와 열이 뭉친 것, 고독을 낫게 하며 고름을 빨아내고[排] 창절(瘡癤)을 낫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5림과 오줌이 막힌 것을 낫게 하고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없앤다.

○ 잎은 계소(水蘇)와 같고 줄기는 붉으며 높이는 3-4자이고 꽃은 누르며 아주 귀엽게 생겼다. 가을에 깍지가 있는 열매가 달리는데 쪼개면 속이 벌어지고 조금만 마르면 곧 떨어져서 줄기에 붙어 있지 않는다. 곳곳에 있는데 나무가 늙어야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구하기 어렵다. 열매는 조각져서 서로 나란히 있어 깃과 같기 때문에 연교라 한 것이다[본초].

○ 수족소양경과 양명경의 약이며 소음경으로 들어간다. 속을 버리고 쓴다. 누창[瘻]과 옹종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약이다[입문].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웃으면서살아요
  2. 명의방론 천연항생제, 연교(連翹)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연교 by 한닥터
  4. 본초정리 연교(連翹)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4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담음(痰飮)] 일음(溢飮) 986
[담음(痰飮)] 담음(痰飮) 1211
[담음(痰飮)] 벽음(癖飮) 961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느침[唾] 767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6
[진액(津液)] 콧물[涕] 997
[진액(津液)] 눈물[泣] 722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4
[진액(津液)] 꺼릴 것[禁忌]/진액 703
[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724
[진액(津液)] 유한(柔汗) 699
[진액(津液)] 절한(絶汗) 756
[진액(津液)] 땀이 나지 않는 것[無汗] 663
[진액(津液)] 땀을 멈추는 방법[止汗法] 1044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진액(津液)] 황한(黃汗)/진액 690
[진액(津液)] 혈한(血汗)/진액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