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연교(連翹)

한닥터 2015.03.07 조회 수 37 추천 수 0

연교(連翹)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나력, 옹종, 악창, 영류( 瘤)와 열이 뭉친 것, 고독을 낫게 하며 고름을 빨아내고[排] 창절(瘡癤)을 낫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5림과 오줌이 막힌 것을 낫게 하고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없앤다.

○ 잎은 계소(水蘇)와 같고 줄기는 붉으며 높이는 3-4자이고 꽃은 누르며 아주 귀엽게 생겼다. 가을에 깍지가 있는 열매가 달리는데 쪼개면 속이 벌어지고 조금만 마르면 곧 떨어져서 줄기에 붙어 있지 않는다. 곳곳에 있는데 나무가 늙어야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구하기 어렵다. 열매는 조각져서 서로 나란히 있어 깃과 같기 때문에 연교라 한 것이다[본초].

○ 수족소양경과 양명경의 약이며 소음경으로 들어간다. 속을 버리고 쓴다. 누창[瘻]과 옹종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약이다[입문].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웃으면서살아요
  2. 명의방론 천연항생제, 연교(連翹)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연교 by 한닥터
  4. 본초정리 연교(連翹)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얼굴(面)] 얼굴에 생기는 잡병[面上雜病] 1585
[귀(耳)] 귀가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耳痛成膿耳] 1419
[코(鼻)] 비연증[鼻淵] 1583
[이빨(牙齒)]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1304
[젖(乳)] 취유와 투유[吹乳妬乳] 801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1658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61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여러 가지 악창[諸般惡瘡] 964
[소아(小兒)] 여러 가지 헌데[諸瘡] 773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2
[풀(草部)] 연교(連翹)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