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산자고(山茨菰)

한닥터 2015.03.07 조회 수 28 추천 수 0

산자고(山茨菰)

조금 독이 있다. 옹종, 누창, 나력, 멍울이 진 것을 낫게 하고 얼굴에 주근깨와 기미를 없앤다.

○ 잎은 길짱구(차전초)와 같고 뿌리는 무릇 비슷하다. 산 속 습지에서 난다[본초].

○ 민간에서 금등롱(金燈籠)이라 한다. 꽃은 초롱과 비슷하다. 빛이 희며 위에 검은 점이 있기 때문에 금등롱이라 한 것이다. 외용약으로는 식초를 두고 갈아서 붙인다[磨付]. 또 알약이나 가루약에 넣어 쓴다[입문].

○ 잎은 부추( 花)와 비슷하고 꽃은 초롱과 비슷하며 세모가 난 열매가 맺힌다. 음력 2월에 싹이 돋으며 3월에 꽃이 피고 4월에 싹이 마르는데 이때 땅을 파고 뿌리를 캐야 한다. 늦으면 썩는다. 그 뿌리 위에는 털이 덮여 있어 가려내기 어려우므로 싹이 있을 때에 그 땅을 기억해 두었다가 가을이나 겨울에 캐서 껍질을 긁어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활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적현(赤? , 붉은 비름) 79
[풀(草部)] 율초( ?草, 한삼덩굴) 79
[금속[金部]] 철설(鐵屑, 쇠가루, 쇠똥) 79
[채소(菜部)] 과자화(瓜子花, 참외꽃) 80
[풀(草部)] 감수(甘遂) 80
[풀(草部)] 예장(?腸) 한련자(旱蓮子) 연자초(蓮子草) 80
[나무[木部]] 자목(刺木, 산뽕나무) 80
[돌[石部]] 태음현정석(太陰玄精石) 80
[풀(草部)] 필발(?撥) 81
[나무[木部]] 백교향(白膠香) 81
[나무[木部]]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81
[채소(菜部)] 녹각채(鹿角菜) 82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3
[채소(菜部)] 궐채미(蕨菜薇, 고비) 84
[풀(草部)] 백두구(白豆?) 84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초장초(酢漿草, 괴싱아) 84
[나무[木部]] 안식향(安息香) 84
[돌[石部]] 적석지(赤石脂) 84
[돌[石部]] 백맥반석(白麥飯石) 84
[채소(菜部)] 고호(苦瓠, 쓴 박) 85
[풀(草部)] 현호색(玄胡索) 85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나무[木部]] 고다(苦茶, 작설차) 85
[나무[木部]] 천축황(天竺黃, 참대속진) 85
[나무[木部]] 곡약(?若, 조리참나무잎) 85
[풀(草部)] 홍초(紅草) 86
[나무[木部]] 자단향(紫檀香) 87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