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木部]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195 추천 수 0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성질은 따뜻하며[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없다. 5로 7상을 보하며 기운을 돕고 정수를 보충한다. 힘줄과 뼈를 든든히 하고 의지를 굳세게 하며 남자의 음위증과 여자의 음부가려움증을 낫게 한다. 허리와 등골뼈가 아픈 것, 두 다리가 아프고 저린 것, 뼈마디가 조여드는 것, 다리에 힘이 없어 늘어진 것 등을 낫게 한다. 어린이가 3살이 되어도 걷지 못할 때에 먹이면 걸어다닐 수 있게 된다.

○ 산과 들에 있는데 나무는 잔 떨기나무이고 줄기에는 가시가 돋고 다섯갈래의 잎이 가지 끝에 난다. 꽃은 복숭아꽃 비슷한데 향기롭다. 음력 3-4월에 흰 꽃이 핀 다음 잘고 푸른 씨가 달린다. 6월에 가면 차츰 검어진다. 뿌리는 광대싸리뿌리 비슷한데 겉은 검누른 빛이고 속은 희며 심은 단단하다. 음력 5월과 7월에는 줄기를 베고 10월에는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위[上]로 5거성의 정기[五車星精]를 받아서 자란다. 그렇기 때문에 잎이 다섯갈래로 나는 것이 좋다. 오래 살게 하며 늙지 않게 하는 좋은 약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궐채미(蕨菜薇, 고비) 84
[풀(草部)] 백두구(白豆?) 84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초장초(酢漿草, 괴싱아) 84
[나무[木部]] 안식향(安息香) 84
[돌[石部]] 적석지(赤石脂) 84
[돌[石部]] 백맥반석(白麥飯石) 84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3
[채소(菜部)] 녹각채(鹿角菜) 82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필발(?撥) 81
[나무[木部]] 백교향(白膠香) 81
[나무[木部]]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81
[채소(菜部)] 과자화(瓜子花, 참외꽃) 80
[풀(草部)] 감수(甘遂) 80
[풀(草部)] 예장(?腸) 한련자(旱蓮子) 연자초(蓮子草) 80
[나무[木部]] 자목(刺木, 산뽕나무) 80
[돌[石部]] 태음현정석(太陰玄精石) 80
[풀(草部)] 청포(靑布, 쪽물들인 천) 79
[채소(菜部)] 적현(赤? , 붉은 비름) 79
[풀(草部)] 율초( ?草, 한삼덩굴) 79
[금속[金部]] 철설(鐵屑, 쇠가루, 쇠똥) 79
[채소(菜部)] 해조(海藻, 듬북) 78
[풀(草部)] 정중태(井中苔, 우물 속의 이끼) 78
[돌[石部]] 녹반(綠礬) 78
[풀(草部)] 야자고(野茨菰) 77
[풀(草部)] 육두구(肉豆?) 76
[풀(草部)] 패천공(敗天公) 76
[나무[木部]] 죽력(竹瀝, 참대기름) 76
[채소(菜部)] 고거근(苦?根, 고거뿌리)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