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木部]

정향(丁香)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101 추천 수 0

정향(丁香)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 신기(腎氣), 분돈기(奔豚氣)와 냉기(冷氣)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성기능을 높이고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반위증[反胃]을 낫게 하고 술독과 풍독을 없애며 여러 가지 종기를 낫게 한다. 치감(齒疳)을 낫게 하며 여러 가지 향기를 낸다.

○ 수컷, 암컷이 있는데 수컷은 알이 잘고 암컷은 알이 굵다. 수컷을 쓰려면 꼭지를 떼버려야 등창과 옹종[背癰]이 생기는 것을 면할 수 있다.

○ 정향 가운데는 크기가 산수유만한 것이 있다. 이것을 민간에서는 모정향(母丁香)이라고 하는데 냄새와 맛이 더욱 좋다[본초].

○ 생김새가 못과 같으며 수태음, 족양명, 소음경에 들어간다. 오미자, 봉출과 같이 쓰면 분돈기를 낫게 한다[탕액].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정향(丁香)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Flos Caryophylli 정향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천웅(天雄) 75
[나무[木部]] 대복피(大腹皮) 75
[나무[木部]] 송연묵(松烟墨) 75
[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74
[돌[石部]] 흑반(黑礬) 74
[풀(草部)] 촉칠(蜀漆) 73
[풀(草部)] 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 72
[나무[木部]] 곽향(藿香) 72
[나무[木部]] 춘목엽(椿木葉, 춘나무잎) 72
[나무[木部]] 대풍자(大風子) 72
[채소(菜部)] 현경엽( ?莖葉, 비름의 줄기와 잎) 71
[채소(菜部)] 백개(白芥, 흰겨자) 71
[채소(菜部)] 사근(渣芹) 71
[풀(草部)] 모향화(茅香花) 71
[풀(草部)] 초과(草果) 71
[나무[木部]] 혈갈(血竭) 71
[금속[金部]] 침사(鍼砂) 71
[나무[木部]] 위모(衛矛) 70
[돌[石部]] 자석모(磁石毛, 지남석털) 70
[금속[金部]] 철분(鐵粉) 70
[채소(菜部)] 자현(紫? , 자줏빛 비름) 69
[나무[木部]] 빈랑(檳郞 ) 69
[풀(草部)] 지의(地衣) 68
[풀(草部)] 고근(菰根, 줄풀뿌리) 68
[풀(草部)] 경실(?實, 어저뀌씨) 68
[풀(草部)] 홍두구(紅豆?) 67
[풀(草部)]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67
[나무[木部]] 우이자(牛李子) 우이자(牛李子) 우이수피(牛李樹皮, 서리자나무뿌리껍질) 67
[돌[石部]] 노감석(爐甘石) 66
[금속[金部]] 철설(鐵屑)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