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木部]

촉초(蜀椒, 조피열매) 초목(椒木, 조피나무) 초엽(椒葉, 조피나무잎) 진초(秦椒, 분지)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500 추천 수 0

촉초(蜀椒, 조피열매)

성질은 열(熱)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있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속을 따뜻하게 하며 피부에 죽은 살, 한습비(寒濕痺)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6부에 있는 한랭기운을 없애며 귀주(鬼 ), 고독(蠱毒)을 낫게 하고 벌레독이나 생선독을 없애며 치통을 멈추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낭에서 땀나는 것을 멈춘다.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오줌횟수를 줄이고 기를 내려가게 한다.

○ 곳곳에서 난다. 나무의 높이는 4-5자 된다. 수유나무와 비슷한데 작고 가시가 있으며 잎이 굳고 미끄럽다. 음력 4월에 열매가 열리는데 꽃은 없다. 다만 잎 사이에 팥알 비슷하고 둥근 것이 자란다. 껍질은 자줏빛이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일명 천초(川椒), 파초(巴椒), 한초(漢椒)라고도 한다.

○ 촉초는 껍질과 살이 두텁고 속이 희며 냄새와 맛이 진하고 세다. 쓸 때는 씨와 벌어지지 않은 것을 버려야 한다. 벌어지지 않은 것은 사람을 죽인다. 약한 불에서 진이 날 정도로 닦은 것이라야 효과가 좋다. 절구에 쓸어 붉은 가루만 골라 쓴다[본초].

○ 술에 축축하게 버무려 쪄서 동이에 넣어 그늘에서 말린다. 바람을 쏘이면 안 된다[입문].


초목(椒木, 조피나무)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12가지 수종을 낫게 한다. 물을 잘 빠지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수고(水蠱)를 낫게 한다[본초].

○ 이 약은 물을 오줌으로만 몰아내고 대변으로는 내보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물을 내보내는 효과가 제일 빨리 나타난다.

○ 약간 닦아서[微炒] 쓴다[입문].


진초(秦椒, 분지)

성질이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있다. 문둥병으로 감각이 아주 없는 것을 낫게 하며 이빨을 든든하게 하고 머리털을 빠지지 않게 한다. 눈을 밝게 하고 냉으로 오는 복통과 이질을 낫게 한다.

○ 진나라 땅에서 나기 때문에 진초라고 한다. 나무의 잎, 줄기, 열매는 다 조피나무와 비슷한데 다만 맛이 좀 못하고 열매가 잘고 빛이 검누른 색이다. 음력 8-9월에 딴다[본초].

○ 사천성에서 나는 것을 촉초(蜀椒), 천초(川椒)라 하고 관중, 협서에서 나는 것을 진초(秦椒)라고 한다[입문].

초엽(椒葉, 조피나무잎)

성질은 열(熱)하다. 분돈(奔豚), 복량(伏梁) 및 신과 음낭이 켕기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곽란으로 쥐가 이는 때에는 쪄서 찜질한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씨침 경혈 분지 상 하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상(諸傷)] 화살촉이나 날이 선 쇠붙이가 뼈나 혈맥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것[箭鏃及金刃中骨脈不出] 501
[제상(諸傷)] 미친개 독이 심으로 들어간 것[狂犬毒入心] 501
[흙(土部)] 적토(赤土) 501
[벌레(蟲部)] 맹충(?蟲, 등에) 501
[눈(眼)] 폭풍객열(暴風客熱) 500
[가슴(胸)] 결흉에 고치지 못할 증[結胸不治證] 500
[제창(諸瘡)] 단방(單方) 500
[괴질(怪疾)] 팔다리가 돌 같이 단단해진 것[四肢堅如石] 500
[벌레(蟲部)] 하(鰕, 새우) 500
[나무[木部]] 촉초(蜀椒, 조피열매) 초목(椒木, 조피나무) 초엽(椒葉, 조피나무잎) 진초(秦椒, 분지) 500
[발(足)] 다리의 부위별 치수[足部度數] 499
[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이 태과하고 불급하는 해[五運之歲太過不及] 499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괴질(怪疾)] 계가(鷄?)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흙(土部)] 6월하중열사(六月河中熱沙, 6월에 강가에 있는 뜨거워진 모래) 499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맥(脈)] 6부맥에 음과 양이 뒤섞인 것[六脈陰陽錯綜] 498
[하(下)]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下無太晩] 498
[화(火)] 침뜸치료[鍼炙法] 498
[부인(婦人)] 부인의 행년을 보는 법[推婦人行年法] 498
[물(水部)]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98
[후음(後陰)] 치질에 여러 가지 병을 겸한 것[痔兼諸病] 497
[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의 운을 규정하는 것[五運紀運] 497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있는 증[難治可治證] 497
[물(水部)]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97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목구멍(咽喉)] 인후의 크기[咽喉度數]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