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木部]

가자(訶子)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121 추천 수 0

가자(訶子)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苦](시고 떫다[酸澁]고도 한다) 독이 없다.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리며 폐기로 숨이 찬 것과 곽란, 분돈, 신기를 낫게 한다. 설사와 이질, 장풍으로 피를 쏟는 것, 붕루, 대하를 멎게 하며 기가 몰린 것을 풀어 주고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을 낫게 한다. 먹은 것을 잘 삭이고 입맛을 돋구며 열격[膈]을 낫게 하고 안태시킨다.

○ 열매가 산치자 비슷한데 껍질과 살이 서로 붙어 있다. 음력 7-8월에 열매가 익을 때 딴다. 6모가 나고 빛이 검으며 살이 두터운 것이 좋다. 일명 가리륵(訶梨勒)이라고도 한다.

○ 열매가 익지 않았는데 바람에 날려서 떨어진 것은 수풍자(隨風子)라 하는데 햇볕에 말려서 보관한다. 저쪽 사람들은 이것을 더 귀하게 여긴다. 작을수록 좋다고 한다[본초].

○ 이 약은 대소장을 수렴하면서도 기를 내보낸다. 그것은 그 맛이 쓰고[苦] 떫기[澁] 때문이다[탕액].

○ 가자를 물에 적셔 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묻어 익히거나 또는 술에 담갔다가 쪄서 씨를 버리고 살만 발라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가자 (訶子)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Fructus Chebulae 가자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단방정리 가자피(訶子皮, 가자껍질)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돌[石部]] 화예석(花蘂石) 59
[금속[金部]] 유철(柔鐵) 59
[금속[金部]] 철장(鐵漿) 59
[금속[金部]] 차할철(車轄鐵) 59
[나무[木部]] 저령(猪苓 ) 60
[나무[木部]] 낙수피(?樹皮, 떡갈나무껍질) 60
[과실(果部)] 명사(??, 명자) 61
[풀(草部)] 작맥(雀麥, 귀리) 61
[나무[木部]] 유핵(?核, 유인) 61
[금속[金部]] 철액(鐵液) 61
[채소(菜部)] 야산(野蒜) 62
[풀(草部)] 오두(烏頭) 62
[나무[木部]] 백극(白棘) 62
[금속[金部]] 생철(生鐵, 무쇠) 62
[금속[金部]] 강철(鋼鐵) 62
[돌[石部]] 마아초(馬牙硝) 63
[짐승(獸部)] 가리(家狸, 고양이) 64
[풀(草部)] 포공초(蒲公草, 민들레) 64
[돌[石部]] 무명이(無名異, 무명석) 64
[풀(草部)] 원의(垣衣) 65
[금속[金部]] 마함철(馬啣鐵) 65
[돌[石部]] 노감석(爐甘石) 66
[금속[金部]] 철설(鐵屑) 66
[풀(草部)] 홍두구(紅豆?) 67
[풀(草部)]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67
[나무[木部]] 우이자(牛李子) 우이자(牛李子) 우이수피(牛李樹皮, 서리자나무뿌리껍질) 67
[풀(草部)] 지의(地衣) 68
[풀(草部)] 고근(菰根, 줄풀뿌리) 68
[풀(草部)] 경실(?實, 어저뀌씨) 68
[채소(菜部)] 자현(紫? , 자줏빛 비름) 69